"노동부 직원들은 노동부 소속원이지 경제부처소속원이 아닙니다" 권기홍 신임 노동장관은 27일 취임식과 기자간담회에서 "노동부는 열악한 환경에 있는 노동자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해야 한다"며 "미리 지레짐작해 노동부의 요구수준을 낮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는 그동안 인수위와 노동부의 정책조율과정에서 드러난 노동부 직원들의 '보수적인' 태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것으로 향후 노동정책 방향의 기조가 어떻게흐를지 주목된다. 권장관은 "물론 국가 경제가 어떻게 되든 기업이 망하든 노동부가 노동자 편에서야한다는 것은 아니고 노동문제가 악화되면 국가경제에 심대한 부정적인 영향을미친다"고 전제하고 "그렇더라도 노동부가 기업이나 경제를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열악한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가경제도 염두에 두되 노동관계가 국제적 기준에 맞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장관은 "노동부가 경제부처와 다른 점은 노동의 시각에서 문제제기를 해야한다는 것"이라며 "다른 부처와 상반된 의견은 조율해 나가면 된다"고 덧붙였다. 권장관은 "사회통합적 노사관계 구축과 신노사문화 정착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노사관계 관련 법과 제도를 국제기준과 우리 현실이 조화되는 방향으로 개선해 선진 노사관계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노사 스스로 신노사문화를 가꾸고 확산시키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식과 관행을 산업현장에 정착시켜나가겠다"며 "노사갈등의 자율해결 및 공정한 법집행이란 원칙을 확실하게 지킴으로써 노사 자치주의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권장관은 비정규직 문제와 관련,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저해해서는 안되지만 비정규직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해 비정규직 양산을 막고 부당한 차별을 시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권장관은 이밖에 국회에 계류중인 주5일 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입법여건을 조성하고 외국인 노동자를 합법적으로 고용할 수 있는 고용허가제 도입 관련법률을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제정하고, 청년층.장기실업자.고령자 등 대상별 특성에 맞는 고용정책을 내실있게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