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북 정책이 최근들어 강경파는 물론 민주당 의원들의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해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 '북한식 강요'에 결코 굴복하지 않을 방침임을 천명했으나 이달 28일로 예정된 새해 국정연설을불과 며칠 앞둔 현재 정작 자신이 쳐놓은 덫에 걸려들었다는 강경파들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부시는 특히 북한 등 `악의 축' 국가들이 대량살상무기 확보를 모색함으로써 중대하고도 확산일로의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고 맹렬히 비난한 터여서 그를 겨냥한 비난수위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핵 포기를 전제로 '대담한 구상'을 검토하겠다고 강조, 북한이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핵무기 개발을 중단한다면 식량 및 에너지 지원은물론 정치적 조치도 취할 수 있음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부시 대통령의 이런 대북 유화 제스처는 북한과의 협상을 고려할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첫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그동안 북한 핵개발 포기에 대한 '보상'은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온 점을 감안할 때 부시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북한에 대한 '양보'로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보수성향의 논평가 찰스 크라우서머는 워싱턴포스트를 통해 "북한에 대한 부시대통령의 입장은 완전히 무너진 상태"면서 "한달도 되지 않아 우리는 이른바 '맞춤형 봉쇄' 정책에서 유화책으로 선회했다"고 꼬집었다. 대북제재 법안을 공동 입안한 존 카일 상원의원(공화)도 "우리는 협상과 유인책,유화정책 등을 통한 북한 핵 프로그램 종식을 위해 10년 이상의 시간을 허비했다"면서 "그 결과 북한은 지금 국제사회로 부터 더 많은 것을 얻어내려고 하고 있다"고주장했다. 지난 13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민주당의 조셉 리버맨 상원의원은 "부시 행정부가 한반도 상황을 잘못 다루고 있다고 믿고 있다"며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비난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군사적 해결책이 없는 부시 대통령이 북한과 협상하는것외에 다른 선택이 없다고 지적했다. 클린턴 행정부 시절 외교정책 보좌관을 지낸 이보 달더는 "우리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막길 원하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무엇인가를 줘야한다는 것이 현실"이라고말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yunzh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