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3일 북한이 5㎿(메가와트) 원자로 봉인제거에 이어 무기급 플루토늄 재추출이 가능한 폐연료봉 저장시설의 봉인도 제거한 것으로 확인되자 대책마련에 부심했다. 정부는 특히 북한의 추가조치는 곧바로 핵무기 개발의도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의 위기가 급격히 고조될 것으로 우려했다. 정부는 하지만 "외교적 해결노력을 강화한다"는 정부의 대처기조를 변화시키지는 않을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충격적인 조치를 취할 여러 옵션들이 많이 있는 만큼 하나하나의 사안에 정부가 성급히 대응할 필요가 없다"면서 "외교적 설득 및 국제사회의 압력을 차분히 밟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국제정세의 오판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이같은 상황이 당분간 지속되거나 상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일단 외교적 노력으로 풀어간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당국자도 "어떤 식으로든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 등은 막아야 한다"면서"우리 정부도 외교채널을 총가동하고 있지만 미국도 적극 나서고 있고 중국, 러시아,일본 등과 미국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같은 대응속에서도 북한의 실제적인 핵동결 해제 조치가 하나씩 실행됨에 따른 대북 경수로 공사중단, 대북 실질적인 압박 조치 등에 대한 한.미.일 3국간 검토작업도 본격화 하고 있다.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조치에 상응하는 대응이 나올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른 당국자는 "아직 결정나지 않았지만 내달초 국제원자력기구(IAEA) 긴급 이사회가 소집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IAEA 이사회 및 유엔 안보리 보고 등의 과정을 거치는 대응수순이 전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낮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노무현(盧武鉉) 당선자간 회동이후 외교안보수석의 노 당선자에 대한 북핵사태 등에 대한 현안보고를 주시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노 당선자와 부시 대통령간 전화통화에서 합의된 고위급 양측인사의 교환과 관련, 노 당선자측의 준비가 끝나는 대로 정부와 노 당선자측 인사로 함께 구성된 대표단의 방미를 본격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