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일 핵 동결 조치를 해제하고 전력 생산에 필요한 핵시설들의 가동과 건설을 즉각 재개할 것이라고 밝힌 것은 북한 경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0월 '북핵 파문' 이후 상당수의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북한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폐기하지 않을 경우 대북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미 대북 중유지원 중단 방침을 확고히 한 미국은 이번 북한의 핵 시설가동 선언에 맞서 대북 경제제재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지난 10월 29일 "미국과 호주는 핵무기 계획 폐기요구에 대한 북한의 순종을 사는 대가로 보상을 제공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음날인 10월 31일 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핵계획을 폐기하지 않는 한 일본은 북한과 수교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북한은 지난 7월 물가 현실화에 기초한 경제개혁에 착수했다. 경제개혁의 성패는 물자의 원활한 공급에 달려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의 핵시설 가동 선언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물자지원이 더욱 어렵게됨으로써 개혁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또 인도적 차원의 식량지원도 남한과 일본이 국제여론을 도외시한 채 지원할 수없을 뿐 아니라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 구호기관의 대북지원 모금도 더욱 어려움을 겪게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외부지원 중단은 북한 내부에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 부족으로 이어지면서 비정상적 거래를 부추겨 물가인상이 초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순성 동국대학교 교수는 "이번 핵 시설 가동 선언이 북한 경제에 악 영향을미칠것은 자명하다"면서 "북한 경제는 현재도 인플레 상태인데 국제사회의 지원 중단은 초인플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척호기자 chchoi0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