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 희생자 가운데 1천715명이 20일 `4.3특별법'에 의해 `희생자'로 공식 결정되면서 관련 희생자와 유족들에 대한 명예회복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제주 4.3사건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4.3특별법에 따르면 제주 4.3사건을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해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돼 있다. 제주 4.3사건은 지난 47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했던 시위군중을 향해 경찰이 총을 쏴 6명의 희생자를 낸 것이 도화선이 됐다. 도민들이 발포 경관 처벌 등을 요구하며 민.관합동 총파업을 단행하자 경무부는 미군정의 묵인 아래 제주도를 '빨갱이섬'으로 규정, 파업 주동자들에 대한 검거령을 내리고 무력 진압에 나섰으며, 본토에서 가세한 경찰과 우익단체들은 빨갱이를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주민들을 무자비하게 연행하고 투옥과 고문을 자행해 갈등의 골이 깊어져 갔다. 이에 불만을 품은 좌익 무장대가 1948년 4월3일 지서와 우익단체 요인의 집 등을 습격, '남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응원 경찰 및 서북청년단 추방' 등을 외치며 무장봉기를 일으킨 것을 시발로 섬 전체로 봉기가 확산돼 경찰 및 군과의 격렬한충돌로 이어졌다. 시위대들은 남한 단독선거는 분단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으로 통일의 길과 정반대방향이라는 인식 아래 우선 5.10선거를 위해 온 유엔감시단의 접근을 차단하려고 했다. 도로를 다이너마이트로 파손해 자동차의 진행을 막았고 돌을 쌓아 길목을 차단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제주도내에서 치러진 5.10선거는 3개 선거구 중 2개 선거구선거가 무효가 되고 1개 선거구 선거만이 간신히 치러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군.경은 제주도의 해안선을 봉쇄하고 대대적인 봉기대 토벌작전을 벌였으며 한국정부 수립 등으로 한때 소강상태를 맞기도 했으나 10월부터 봉기대를 대상으로 한 초토화 작전이 시작돼 1949년 3월까지 집중적으로 참혹한 집단 학살이 곳곳에서 자행됐다. 1949년 1월17일 해안 마을인 북제주군 북촌에서 무장대의 기습을 받아 군인 2명이 숨지자 군인들이 '주민들이 공비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이 마을 주민 1천여명을초등학교 운동장에 집결시킨 뒤 이중 400여명을 총살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토벌대는 무장대와 주민들의 연계를 막기 위해 중산간 마을 주민들을 해안 마을로 강제소개시킨 뒤 100여개 중산간 마을을 불질러 없애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군.경은 물론 그 가족들이 무장대에 의해 희생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 사태는 1949년 6월 무장대 사령관 이덕구가 사살되면서 사실상 거의 소멸됐으나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4.3봉기에 연루된 수감자의 대부분 처형되고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주민들이 예비검속에 걸려 투옥되거나 학살되는 등 비극적인 역사는 계속됐다. 4.3사건은 1954년 9월21일 제주도 경찰국장이 한라산 금족령을 해제하고 지역주민들에게 부과했던 마을 성곽 보초 임무를 폐지함으로써 일단락됐으나 당시는 물론지금까지도 남로당의 사주에 의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시위군중들중에는 사상과는 관계없이 순수하게 조국의 통일을 열망한 이들도 있었고, 더구나 토벌대는 시위운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양민들까지도 토벌 대상으로 삼아 무차별하게 희생시킴으로써 오늘날까지 제주도민의 가슴속에 응어리 맺힌 한으로 남아 있다. 제주 현대사 최대 비극인 4.3사건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인명피해에 대해선 최저8천명에서 최고 8만여명으로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 1957년 4월3일자 '제주신보'는 희생자를 무장대 7천893명, 경찰관 120명과 군인 89명 순직, 양민 1천3백여명등 모두 9천402명으로, 1948넌 10월14일자 서울신문은 2만9천702명으로 보도하기도했다. '제주교육사,(제주도교위,1979), '제주도지' 상권(제주도,1982), '제주경찰사'(제주도경찰국 1990) 등은 희생자를 2만7천719명으로 집계하고 있으나 구체적 근거를제시하지는 못했다. 주한미군사령부의 49년 4월1일자 '제주도 사건 종합보고서'에는'지난 1년 동안 1만5천명의 주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중 최소 80%가 토벌군에 의해 사살됐다'고 기록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4.3특위가 신고접수 등을 통해 파악한 희생자는 1만5천여명이다. (제주=연합뉴스) 홍정표 기자 jp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