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요 신문들이 시민단체나 관련학회 등과 함께 활발한 공약 검증에 나서고 있다. 문화일보는 경실련, 한겨레는 YMCA, 경향신문은 참여연대와 공동으로 후보별 정책을 비교하고 있고 동아일보와 KBS는 한국정책학회와 함께 주요 당직자를 불러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일보와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가 공동 정책진단에 나선 것을 비롯해국민, 대한매일, 중앙 등도 관련학회나 자문위원 등과 함께 공약 검증을 시도하고있다. 이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정책연구실은 14일 보고서를통해 "정책 대결을 유도한다는 차원에서나 유권자들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앞으로 선거보도에서 중요한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 대선공정보도위원회도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공약 관련 기사의양이 예전에 비해 훨씬 늘어난데다 전문가나 시민단체를 참여시켜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 등을 점검하는 등 진일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나 개별 신문사들의 보도 방향이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언론노조 민실위는 10월 7일부터 14일까지 중앙종합일간지 가운데 공약 검증 관련 기획기사를 게재한 8개 신문을 분석한 결과 시민단체와 공동기획에 나선 한겨레ㆍ경향ㆍ문화의 기사가 돋보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문화는 단순 비교에 머물지 않고 주택정책, 물가와 성장률, 행정수도 이전등 후보들의 공약 가운데 그동안 실패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해외의 사례를 소개해 독자로 하여금 공약의 가능성과 한계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비해 중앙은 정책 검증보다는 여론조사를 통한 특정 정책의 지지율 조사를실시했으며 조선은 공약 소개에 그쳤다. 기협 공보위는 "정책 비교나 공약 점검을 뛰어넘어 주요 선거쟁점으로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면서 "유권자들이 알기 쉽고 피부에 와닿게 전달하는 방식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한 "정책 대결을 통한 선거풍토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공약 검증 기사가 단발성이나 전시성 기획에 끝나지 않고 정치면의 스트레이트와 해설기사 등에도 이어져야 한다"며 "정치부 정당 출입기자를 중심으로 후보자와 정당의 동향을 중계하는기존 선거보도 시스템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선미디어공정선거국민연대 선거보도감시위원회는 지난달 30일부터 7일까지 5개 일간지의 후보 정책 관련기사를 모니터한 뒤 "한겨레와 경향이 비교적 꼼꼼한 분석과 검증을 시도한 반면 조선과 중앙은 인상 비평과 흥미 위주의 감성적 보도로 흘렀고 동아는 정책을 나열하는 수준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