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문제가 불거지면서 국제사회가 잇달아 대북지원중단방침을 밝히고 있어 개혁에 시동을 건 북한경제가 자칫 위기상황에 직면하는 것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폰 모르 주한 독일대사는 그동안 계속해 온 대북 개발지원과 장학사업 등의 중단가능성을 언급했고 필 고프 뉴질랜드 외무장관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폐기하지 않을 경우 모든 대북 원조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많은 수의 유럽연합(EU)국가들이 이외 유사한 입장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미국은 제네바 합의에 따른 대북 중유지원의 중단방침을 확고히 하고있다. 이 중유는 북한내 7개 발전소에 공급되고 있어 지원이 중단되면 전력감산이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제는 북한이 지난 7월부터 물가 현실화에 기초한 적극적인 경제개혁에 나서고있고 이 조치의 성패는 물자의 원활한 공급에 달려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지원중단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식량의 경우, 인도적 차원이기는 하지만 남한과 일본이 국제여론을 도외시한 채지원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 구호기관의 대북지원 모금도현재상태에서는 어려움을 겪게될 전망이다. 결국 외부지원 중단은 북한 내부에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 부족으로 이어지면서 비정상적 거래를 부추겨 가격 폭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북한 경제개혁의 관건은 원활한공급에 있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지원 중단은 초인플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결국 북한은 과거로 회귀해 '고난의 행군'과 같은 전시경제체제에 돌입할 수 밖에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 경우 북한주민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은 개혁에 돌입하기 이전에 비해훨씬 크고 혹독할 것"이라며 "북한은 내부 통합을 위해 이데올로기적 동원체제에 들어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미.일 3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핵개발을포기할 경우 경제지원을 포함해 경제.외교면에서 과감한 대북 관계개선 조치를 취한다는 '대담한 접근'(bold approach)방식을 천명한 것도 이같은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결과이기 때문에 북한의 선택이 관심거리이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