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시인으로 핵개발 프로그램이 처음 확인됐지만 지난 94년 제네바 기본합의를 통해 북한이 핵 동결을 약속한 이후에도 줄곧 핵무기 개발계획을 시도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복수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미국은 지금까지 4차례 이상 북한의 비밀 핵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결정적인 증거를 포착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같은 정보가 사실이라면 북한은 제네바 기본합의를 통해 영변의 핵시설을 동결한 상태에서 100만㎾급 경수로 2기건설 및 50만t 중유제공이라는 당근을 취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국제감시의 눈길을 피해 비밀 핵무기 개발을 계속하는 `이중플레이'를 진행해 온 것이다. 북한의 제네바 기본합의 이후에도 핵개발 의사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증거는 지난 95년 처음 정확히 포착됐다고 소식통들은 전하고 있다. 당시 북한은 독일인 중개상을 통해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플루토늄 완제품 밀수를 추진했다. 소식통들은 당시 플루토늄 밀매과정을 역추적한 결과 당시 북한의 대성은행이 유럽지역 한 은행계좌로 밀매중개상에게 보내는 5천만달러의 거액을 발견했다고 전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 제네바 기본합의를 통해 북한의 핵개발 계획 포기를 기대했던 클린턴 행정부도 다시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촉각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영변 핵시설이 동결된 상태에서 플루토늄 수입이 차단되자 98년께부터는 농축우라늄을 이용한 비밀 핵개발 프로그램으로 방향을 돌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내에 천연 우라늄 매장이 적지 않은데다가 원자로도 필요없고, 국제감시의 눈길도 상대적으로 소홀하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북한의 농축우라늄을 이용한 핵무기 개발계획은 조금씩 포착됐으나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무기 개발계획에 관심이 집중되는 바람에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지난 99년에는 미국 언론들은 우라늄 농축기술을 북한이 파키스탄으로부터 지원받고 있다면서 우라늄 농축에 필요한 원심분리기 관련품목을 북한이 발주한 것이 포착됐다고 미 에너지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부시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의 북한에 대한 비밀 핵개발 우려는 더욱 높아졌다는것이 정부 안팎의 관계자들의 얘기다. 특히 부시 행정부는 플루토늄이 아닌 농축우라늄을 이용한 북한의 핵프로그램에관심을 집중해 왔던 것으로 전해졌고, 파키스탄 저명 과학자의 방북을 포함한 여러증거들이 포착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부시 행정부 인사들은 우리 정부 안팎의 인사들을 만날 때마다 농축우라늄을 이용한 북한의 핵개발 계획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한편 현재 북한의 농축우라늄 핵개발 진행상황이 어떤 수준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일부에서는 농축실험을 진행했다는 설도 제기하고 있기도 하다. 또 관련기술 및 시설은 파키스탄, 러시아, 중국 등지로부터 흘러들어갔다는 설이 많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처음에는 연구목적으로 시작했을 수 있겠지만 시간이지나감에 따라 그 프로그램이 점차 커졌다는 차원으로 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