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경고한 군 정보보고서 묵살 의혹 파문이 계속되는 가운데, 그동안 국회 국감 등에서 행한 한철용 전 5679부대장의 각종 주장의 진위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국방부와 합참, 5679부대, 기무사 등 관련 군 기관에는 서해교전 이전 북경비정의 연이은 NLL(서해 북방한계선) 침범을 둘러싼 대북 통신감청 기록, 상부 보고서와 하달된 기록, 한미 합동정보회의 회의록 등 각종 기록이 거의 빠짐없이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진행중인 국방부 특별조사단의 조사가 끝나는대로 북도발 가능성 경고 묵살 의혹과 관련한 진상이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 6월13일 5679부대 보고 = 한나라당 박세환 의원은 지난 4일 국방부 국감에서 5679부대가 지난 6월13일 NLL 침범의도와 관련, "첫째 북 해군의 전투검열 판정과 관련된 침범, 둘째 월드컵과 국회의원 재보선과 관련한 한국내 긴장고조 의도 배제 불가, 셋째 우리 해군 작전활동 탐지 의도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는 '1일 첩보보고'를 올렸으나, 합참 정보본부와 김동신 전 국방장관을 거치면서 2, 3번째 항목이 삭제되고 `단순침범'으로 예하부대에 전파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한철용 소장은 박 의원의 주장을 모두 인정하면서 특히 "6월13일 보고에서는 `8자'가 핵심내용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질의 내용 가운데, 둘째 항목의 `국회의원 재보선'이란 단어는 한 소장이 상부에 올린 `1일 첩보보고'에는 없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군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정형진 합참 정보융합처장은 이튿날인 6월14일 오전 당시 김동신 국방장관에게 그 3가지 항목에 `단순침범 가능성'을 추가해 보고했고, 이에 김 전 장관은 "도대체 여러가지를 늘어놓고 나보고 정보판단을 하라는 말이냐"고 질책한 뒤 "확실히 정리해 다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이에 정형진 처장은 `장관의 지시'라는 것을 내세웠는 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2번째 3번째 항목을 삭제한 채 전파하라고 5679부대에 지시했을 개연성이 높다. 이는 이 부대 정보단장인 윤영삼 대령의 7월18일자 경위서로도 뒷받침이 되고 있으나, 윤 대령이 `확대해석'했다는 반박도 있어 주목된다. 그러나 합참 관계자는 "5679부대의 6월13일자 보고는 이미 관련 부대에 전파된데다, 정보본부가 삭제안하고 전파했다고 해도 그 어디에서 도발 가능성을 알 수 있느냐"며 "특히 단순침범 가능성은 당일 각종 첩보를 취합하고 서해 해역 상황을 면밀히 검토한 끝에 해군 작전부대가 6월13일 내려 추가시킨 것"이라고 전했다. ◇ 6월 14일 정보수뇌회의 = 한 소장은 지난 6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6월 14일 권영재 합참 정보본부장, 김군식 정보사령관, 권영달 군사부장, 정형진 정보융합처장 등과 나를 포함해 군 정보수뇌부들이 모여 13일 북 경비정의 NLL 침범을 논의했다"며 "나는 북측 교신내용의 특이징후와 미군이 북한군의 움직임을 촬영한 항공사진을 제시하며 북의 도발 가능성을 경고했으나 역시 묵살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그 자리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2시간반 이상 걸린 마라톤회의에서NLL 침범 문제는 전혀 논의되지도 않았다"며 "그 회의의 의제는 정보사와 5679부대간의 정보전파체계 문제에 관한 논의였다"고 반박하고 있다. ◇ 6월 27일 감청내용 누락 = 6월 13일자 감청내용보다 훨씬 결정적으로 북 도발 임박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6월 27일 감청내용의 보고 누락 여부가 핵심이다. 한 소장은 6일 "북한군 상부의 교신내용은 북한군의 도발 가능성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내용이며 6월 27일 감청내용중에는 15자가 핵심단어"라며 "또 결정적 정보를 군 수뇌부에 보고했으나 묵살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군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6월 27일 5679부대의 `1일 첩보보고'에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북의 도발징후를 확신할 수 없는 통신감청 내용 1건을 첨부하고 `단순침범으로 보인다'는 종합의견이 담겨 있었다는 것이다. 6월 28일 보고에도, 서해교전 당일인 29일 보고에도 5679부대의 1일 보고는 `단순침범 가능성'과 `우발적 침범' 쪽에 무게를 둔 종합의견을 적시했다는 것이다. 6월 27일 감청내용 중 2건이 상부에 보고되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것은 서해교전직후인 7월초 열린 한미 합동 정보회의 석상에서였다는 이 고위관계자는 말했다. 이 회의에는 한미 양국 정보실무자 20여명이 참석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 자리에서 한 소장은 누락시켰던 6월 27일자 감청내용 2건을 추가로 제시했는데, 거기에는 북 도발이 임박했다는 상당한 징후가 담겨 있었고, 한 소장이 당일 올렸던 1건의 앞뒤 맥락이어서 3가지를 종합해보니 결정적 징후였음을 한미 정보관계자들이 알고 `지금와서 그것을 내놓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질책했다는 것이다. ◇ 7월 4일 한미 합동정보회의 = 한 소장은 얼마전 국감에 대비해 작성한 자신의 비망록을 통해 "7월 4일 서해교전 성격 평가를 위한 한미 합동회의에서 `서해교전은 북 경비정의 우발적 단독범행'이라는 입장을 취해 `상부지시에 따른 계획적인선제 기습공격'이라고 주장한 5679부대 및 미군측과 갈등을 빚었다"고 주장했다. 다른 군 고위관계자는 "그 회의에서는 `북한에 의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도발'이라는 전제아래 어느 수준에서 계획된 것인가를 분석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기습 무력도발이 북한의 최고위급 차원의 계획 및 지시에 따른 것인지, 현지 작전부대 차원의 것이었는 지 등에 대해 토론이 있었다는 것이다. 한 소장은 당시까지 보고하지 않았던 서해교전 이후의 특수첩보 2건을 내보이며,`상부의 지시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가, 정보본부장의 질책을 들었다고 한다. 이 회의에는 경위서를 작성한 5679부대 정보단장인 윤영삼 대령도 참석했다고이 고위관계자는 전했다. ◇ 한 소장 왜 대면보고 안했나 = 당시 김동신 장관은 지난 4월 `장관 지시사항'으로 "모든 정보수집 부대장들은 특이사항이나 중요사항이 있으면 반드시 부대장이 직접 장관에게 대면보고를 하라"고 지시했다고 이 고위관계자는 전했다. 그는 "이같은 장관지시도 있는데, 한 소장이 그토록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 장관이나 합참의장에게 대면보고를 했어야 한다"며 "그러나 그는 지난 6월 13일이후서해교전 이전까지 한번도 대면보고를 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사실 장관의 지시를어긴 직무유기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