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업씨와 한나라당 맞고소로 시작돼 두달 넘게 진행된 이정연씨 병역문제 수사가 사실상 `종착역'으로 치달으면서 수사결과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와 관련해 일부 언론이 테이프 조작설, 김대업씨 사법처리설 등을 잇따라 보도하고 있지만 검찰은 "수사가 한창 진행중이고 어떤 결론도 내리지 않았으며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결론을 내놓기 위해 수사팀에게 신속한 수사를 주문하고 있다"며인내심을 갖고 지켜봐달라고 거듭 당부하고 있다. ◆ 김대업씨 테이프 진위 = 검찰은 김대업씨가 제출한 1.2차 복사본 녹음테이프가 조작됐다고 볼 뚜렷한 근거는 없지만 병역비리 의혹의 핵심 물증으로 삼기는 어렵다는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30일 제출된 2차 녹음테이프의 경우 본체가 재작년에 와서야 제작된 것으로 드러났고 테이프에 등장한다는 김도술씨 목소리를 명확히 확인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대검과 국과수가 이르면 이번주중 테이프 성문 분석 등 결과를 공개할 예정으로 있으나 대검의 경우 1차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판단불능'으로 잠정 결론낸 것으로 알려져 국과수의 최종 결과가 주목된다. 국과수의 감정 결과에서도 이번 수사의 유일한 물증으로 부각됐던 녹음테이프에 대해 `판단불능'이라는 결론이 날 경우 병풍수사에 적잖은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 병적기록표 위.변조 의혹 = 검찰은 정연씨 병적기록표 작성에 관여한 당시종로구청 직원 및 병무청 관계자 등을 3-4차례 이상 소환, 조사했지만 병적기록표가위.변조됐다고 볼 만한 뚜렷한 단서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7년 대선직전 병무청이 이미 병적기록표 관련자들에 대한 1차 스크린 작업을 진행했고 이들은 이번 검찰 수사에서도 비슷한 취지의 진술을 내놓았다고 검찰은 전했다. 검찰은 "병적기록표 오류 등에 대해 관계자들은 대부분 `실수' 내지 단순 오류정도로 해명하고 있다"며 "기록표가 직접 위.변조됐다는 단서를 포착하기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고 토로했다. ◆ 병역비리 은폐대책회의 의혹 = `대책회의'에 직접 관여했다고 김대업씨가 주장한 김길부 전 병무청장의 연루 사실에서부터 검찰수사가 벽에 부딪혀 있다. 김길부씨가 관련 사실을 강력 부인하고 있는데다 김길부씨의 전비서였던 박모씨가 수사 초기부터 검찰 소환에 불응, 잠적해 버려 사실관계 확인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검찰은 전담 검거반을 편성, 박씨의 소재를 쫓고 있으며 김길부의 97년 행적을 캐는데 단서를 제공할 만한 주변 인사들을 상대로 탐문 수사를 진행중이다. 또 신검부표 파기와 관련, 96∼97년 당시 국군의무사령부 인사처장 김모 대령및 춘천병원 주임원사 원모씨 등을 불러 경위 조사를 벌였으나 파기시점과 경위 등에 대한 진술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검찰은 "97년 3월 국회에서 정연씨 병적기록표 제출을 요구받았을 때 김 전 청장의 결재를 받아 `병적기록표가 파기됐다'는 답변서를 보냈다"는 당시 병무청 국회연락관 이모씨의 진술을 근거로 정확한 답변서 작성 경위도 파악중이다. ◆ 군검찰 내사여부 = 검찰이 지난 2일 군검찰 합동수사반장을 지낸 고석 대령의 집과 차량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입수한 관련 자료를 분석중이다. 검찰은 98년 10월 시작된 군검찰의 병역비리 수사에서 정연.수연씨를 내사했는지 여부에 대해 당시 수사를 맡았던 이명현 소령과 고석 대령 등 당시 수사 관계자10여명을 조사했다. 검찰은 "99년 군검찰 수사를 맡았던 이명현 소령 등과 고 대령이 언론을 통해 밝힌대로 내사 여부를 두고 서로 진술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고 밝혀 입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했다. 검찰은 정연씨가 90년 6월과 91년 1월 서울대병원에서 병사용 진단서를 뗀 경위및 91년초 병무청 직원 이재왕씨를 접촉한 사실 등을 토대로 정황 조사에 주력하고있다. ◆ 향후 수사전망 = 검찰은 이회창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의 측근 인사인 이형표씨 등 핵심 관련자들의 금융계좌에 대한 추적작업에 막바지 승부수를 걸고 있다. 검찰은 지난 91년을 전후한 금융계좌를 중심으로 사건 관련자 7명의 본인 및 가족 등 주변 인사들의 입출금 내역과 경위를 캐는데 주력하고 있다. 유일한 `물증'인 김대업씨 녹음테이프의 경우 `조작'이 아니라는 최종 결론이 나온다 하더라도 핵심 참고인인 김도술씨에 대한 조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비리 의혹의 실체를 밝혀내기는 이미 힘들어졌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서울=연합뉴스) 조계창 기자 philli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