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나라종금 퇴출과 관련, 보성그룹과 나라종금이 정.관계 유력인사 3-4명에게 금품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에 대해 수개월간 수사를 해왔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단서는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로비의혹의 초점은 보성그룹 김호준 전 회장이 지난 97년 11월 IMF체제 직전 나라종금을 인수했으나 한달 뒤 영업정지되자 그룹의 `돈줄'인 나라종금을 살리기 위해 3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 정치권의 H,P,A,S의원 등에게 로비를 벌였다는 것. 실제로 나라종금이 1차 영업정지된 뒤 대기업들에게 증자를 조건으로 돈을 빌려주는 등 편법으로 국제결제은행(BIS)기준을 맞췄음에도 금융당국이 이듬해 영업재개판정을 내리는 등 로비가 있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은 곳곳에서 발견됐다. 또 98년 4월-2000년 1월 나라종금이 상환능력 없는 보성그룹에 무려 2천955억원을 불법대출해줬음에도 금감원의 검사 한번 받지 않았고 2차 영업정지후 감사에서도책임을 져야할 임직원들이 검찰에 고발되지 않은 것도 의심스런 대목이다. 그러나 김 전 회장측의 정.관계 로비의혹은 의심스런 정황과 각종 소문만 무성할 뿐 그간의 수사과정에서 이렇다 할 단서하나 포착되지 않아 실체가 밝혀질지는지극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 전 회장도 검찰조사에서 "나라종금이 영업정지되면서 그룹 전체의 재무상태가 악화되자 보성그룹의 돈을 가지급금 형태로 빼서 각 계열사에 지원했을 뿐 로비는 생각지도 않았다"고 의혹을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김 전 회장이 빼낸 공금 30억원 중 상당부분은 보성 인터내셔널, 보성어페럴 등 보성 계열사로 건네진 사실이 검찰수사에서 확인되기도 해 그의 진술을뒷받침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나라종금의 정치권 로비와 금융당국의 관리소홀 등에 대해 다각도로 의혹 사항을 확인중이지만 현재까지 드러난 단서는 전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이 공적자금 비리에 대해 시한을 두지 않고 수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어 당시 로비정황을 입증할 만한 결정적 물증이 돌출할 경우 정치권에 큰 파장을 몰고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 기자 fai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