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이 임박한 가운데 내각 개편의 폭과 시기 등을 놓고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일부 부처에서는 미리부터 장관이 바뀔 것으로 예상, 아예 현안처리를 늦추는가 하면 공직자들이 업무보다는 개각과 관련한 동향에 촉각을 세우는 등 공직기강 해이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최근 현안 파악차 소관부처에 연락을 해보면 '장관 결재를 아직 안받아 결과를 알려줄 수 없다'는 답변이 적지않다"면서 "매번 개각설이 나돌 때면 업무가 평소보다 원활치 못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장관 교체가 확실시 되거나 교체 가능성이 높은 부서일수록 개각설이 일단 제기되면 업무협조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심지어 갖가지 이유를 들어 회의참석 조차 않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각 부처에서 개각설이 나돌면 온통 관심사는 '누가 조직의 책임자로 오느냐'로 집약되는 게 보통의 모습"이라면서 "요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고 털어놨다. 특히 개각설만 제기되면 각 부처에서 관계부처와 충분한 사전협의없이 정부정책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거나 언론에 흘려 결과적으로 정부정책의 일관성을 훼손하거나 정부정책의 불신만 키우는 병폐도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교체설이 나도는 일부 부처에서는 이런저런 주장을 내세워 '장관 교체불가' 여론형성을 시도하는 등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인사권에 도전하는 듯한 사례까지도 발생, "공직기강이 위험수위가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이에 따라 총리실, 감사원, 행정자치부 등 사정 관계기관은 공직자 비리 및 직무태만 등 근무태세 해이를 막고 공직기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를 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공직사회 일부에서는 개각을 하려면 가급적 빨리해서 공직사회의 동요를 최소화하는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