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9일 오전 서해상에서 발생한 남북 경비정간 교전상황에 대해 일단 '남측의 선제공격'을 주장하면서 책임을 회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논리의 연장선에서 북한은 남측의 '선제공격'에 대한 책임문제를 거론, 공세를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1999년 서해교전 때도 이에 항의하는 유엔사측에 대해 '남측의 선제공격'을 주장했으며 방송들은 "우리(북)측 수역에 대한 남조선 해군함정들의 침범과 도발로 시작된 것으로 완전히 고의적이고 계획적인 책동"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북한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앞으로 서한을 보내 서해교전이 '미국의 묵인하에 이뤄진 남한측의 계획적인 군사도발'이라며 미국과 남한의 군사적 도발을 중단토록 하는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여기에다 북한은 북방한계선(NLL)이 국제법상 북한에서 12해리 이내이기 때문에 북한의 영해라는 점을 주장할 전망이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서해교전이 발생한 이후 1999년 9월2일 특별보도를 통해 서해상의 NLL을 무효화하고 자신들이 일방적으로 `해상경계선'을 설정해 그 북쪽지역을 인민군 군사통제수역으로 한다고 선포했다. 문제는 이번 사태가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1999년의 경우, 북한은 서해교전이 발생한 직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성명을 발표해 "남조선 괴뢰들에 의해 조성된 엄중한 사태와 관련해 당분간 남측 인원들의 평양방문과 접촉을 제한 또는 중지한다"고 밝혔었다. 또 교전 직후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렸던 남북 차관급회담에서 북한 박영수 북측 대표단장은 회담을 결렬시키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 교전으로 당국간 관계가 경색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간간이 진행되던 민간급 교류마저 끊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99년 서해교전 당시 교전상황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지원하던 비료가 예정대로 인도됐고 금강산관광도 끊어지지 않고 이뤄졌었다는 점에서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