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납북자.국군포로 가족을 `광의의 이산가족 범주'에 포함시켜 해결해 나간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28일부터 3일까지 5박6일간 진행된 제4차 이산가족 순차상봉 때도 납북자 가족이 금강산을 찾아 북측 가족과 상봉했다. 그렇지만 6.25 전쟁 이후 현재까지 북쪽에 억류돼 있는 납북자는 480여명, 생존이 확인된 국군포로가 230여명이라는 점은 이러한 접근방식이 근본 해결책이 되기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지난 67년 6월 서해 연평도 인근에서 조업 중 피랍된 풍복호 선주 최원모(당시 57세)씨의 부인인 남측 김애란(金愛蘭.79)씨는 이번 상봉 때 남편의 생사 여부도 확인하지 못한 채 두 여동생만 보고 왔을 뿐이다. 정부는 남북간의 각종 대화.접촉을 통해 납북자.국군포로 등 인도적 차원의 문제에 대한 북측의 노력을 유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북측은 납북자.국군포로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투의 입장으로 일관하고 있다. 북측의 이같은 외형적 거부 입장 때문에 납북자.국군포로가 하루 속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노력하지 않고 있다는 비난마저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북측이 납북자와 국군포로를 `광의의 이산가족 범주'에 포함시킨다는 남측 정부의 입장을 사실상 일부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앞으로 해법 마련에 대한기대를 높여주고 있다. 지난 2000년 9월 비전향장기수 92명이 북측에 송환된 이후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납북자와 국군포로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2차 상봉 때 납북자 1명과 국군포로 1명, 3차 상봉 때 납북자 1명과 국군포로 2명이 남측 가족을 상봉한 데 이어 이번 4차 행사에서도 납북자 가족 상봉이 이어졌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사확인→서신교환→상봉→재결합이라는 일반론 차원의 해법이 `광의의 이산가족'인 납북자나 국군포로 문제에도 해결의 물꼬를 트고 있는 셈이다. 상봉이 이뤄지지 않은 특수 이산가족이 적지 않고 북측 태도 또한 아직은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있는 만큼 정부의 단계적이고도 지속적인 문제해결 노력이 기대된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nks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