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11:46
수정2006.04.02 11:48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는 26일 비주류와 소장파 의원들이 요구해온 '12월 대통령선거전 집단지도체제 도입' 안을 전격 수용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월 전대에서 정치혁신과 정권교체에 대한 국민 여망에 부응하기 위해 총재제도를 폐지하고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겠다"면서 "저는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하지 않음으로써 당의 단합을 위한밀알이 되겠다"며 당권을 포기하고 대선후보에만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또 "빠른 시일내 총재권한대행 체제를 갖추어 총재직을 사퇴할 것이며, 최근 부총재단 사퇴에 따라 새로 구성될 당운영특별기구(중진협의체)에서 성공적인 전대를 치르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게 될 것"이라며 "그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과 단합의 길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5.10 전당대회 이전까지는 당이 기존 총재단회의를 대체할 `당운영특별기구' 중심으로 운영되고, 전대 이후에는 최고위원들이 실질적 의결권을 갖는 최고위원제로 운영하게 됐다.
한나라당은 금주중 당무회의를 열어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뒤 내달초 중앙위 운영위를 소집, 이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이 총재의 이번 결정은 국민참여경선제 도입을 통해 침체에 빠져 있던 민주당이활력을 되찾고 노무현(盧武鉉) 고문이 `돌풍'을 일으킨 점을 감안, 특단의 수습책을통해 내부 전열을 재정비하고 당의 화합과 결속을 유도, 양대선거에 대비하기 위한포석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은 특히 협의제 형식으로 운영돼온 과거 총재단회의와는 달리 최고위원들이 권한을 분장하는 실질적 합의제로 전환하게 됨으로써 5월 전대에서 실시될 최고위원 경선은 치열한 경합이 예상된다.
이 총재는 그러나 물의를 일으켜온 `측근 3인방'의 최고위원 경선 참여 여부에대한 명확한 언급을 회피함으로써, 이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없게 됐다.
더욱이 이 총재는 전대 후 당이 대표최고위원 중심으로 운영될 때 대선후보로서대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안전장치'가 담보되지 않음으로써 지난 97년 대선때와같은 논란의 불씨를 남겨두게 됐다.
이 총재의 집단지도체제 도입 선언에 대해 비주류와 소장파 의원들은 "만시지탄이나 환영한다"는 입장을 보여, 당권.대권 분리 논란을 둘러싼 당내분 사태는 일단잠복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이 총재는 기존 부총재단과 지도위원, 상임고문, 전국 시도지부장들을 당사에서 만나 수습책의 핵심내용을 설명하고 "구당(救黨) 차원에서 내린 결정이니 적극 도와달라"며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으나 일부 참석자들은 반론을 제기했던 것으로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