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색된 남북관계를 특사로 풀어라' 정부는 미국의 정권교체 이후 조지 W.부시 대통령의 강경한 대북관으로 꽉막혀버린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고 한반도 긴장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특사'라는 최후의 카드를 꺼내 들었다. 특사 파견의 배경에는 남북관계 소강상태가 당국간 회담으로 풀릴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상의 뜻을 전달할 수 있는 특사를 통해 상대방 정상의 마음을 움직여 보자는 것이다. 특히 북한의 경우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결심이 모든 사안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사를 통한 설득을 통해 남북관계를 복원하자는 것이다. 이미 남측에서는 지난해 11월 열린 제6차 장관급회담에서 수석대표의 김 위원장 면담을 추진했지만 북측에서 수용하지 않아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사카드를 추진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더군다나 남북간 현안으로 걸려있는 경의선 철도.도로 연결, 금강산관광 활성화를 위한 육로관광 등이 북한 군부의 결심을 요구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김 위원장에 대한 설득이 절대적이다. 또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대북정책 조율 내용을 북측에 전달하고 정부의 정책 방향을 설명하는데는 특사 교환이 적격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재작년 북측의 김용순(金容淳) 대남담당비서가 특사로 김 위원장의 추석선물을 들고 남한을 다녀갔던 것 처럼 이번에는 임동원(林東源) 특보가 특사로 북한을 방문해 남북관계 전반에 대해 격의 없는 전반적 논의를 하게될 전망이다. 사실 이같은 대북특사의 파견은 남북관계 풀기 위해 이전 정권에서도 종종 검토해오던 방안이지만 이번 특사 파견은 이전 시기의 특사 파견과는 성격과 형식이 좀다르다. 우선 이번에는 특사파견을 공개해 '밀사'의 성격을 배제함으로써 대북정책 추진의 투명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사는 파견이 끝난 뒤 결과가 알려지는것이 상례였지만 이번에는 특사 파견을 공개했다는 것이다. 물론 김영삼 정권 때도 특사 파견을 공식 회담을 통해 논의했지만 성과없이 끝나고 말았다. 성격 또한 과거에는 남북관계가 전무한 상황에서 뭔가 시작하기 위한 시작점으로서의 특사 파견이었지만 이번에는 남북관계가 이뤄져 오다 꼬인 실타래를 풀기 위한 문제해결 성격의 특사라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특사 파견에서 논의될 의제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의제를 정해놓고 얘기하기 보다는 전반적인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면서 문제해결방안을 찾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