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2박3일간의 방한 일정을 통해 북측에 대화를 거듭 촉구,이제 공은 북한으로 넘어갔다.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북.미 대화의 재개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각적인 후속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3월중 남북대화 재개될 듯 =한.미 양국은 우선 중단된 남북 대화의 재개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 결과에 따라 미국측 대화의지를 전달하기 위해 잭 프리처드 미 대북협상 담당 특사를 평양에 파견할수도 있다. 부시 대통령 수행단으로 방한한 프리처드 특사는 21일 우리 정부 당국자와 접촉을 가진데 이어 22일엔 최성홍 외교통상부장관도 만날 예정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22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열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 정부는 이르면 이달 말께 실무급 차원의 남북적십자 대표 접촉을 가진 뒤 이산가족 상봉을 재추진할 방침이다. 한 당국자는 "북한이 현재 대규모로 준비하고 있는 아리랑 축전의 성공을 위해 남측 관광객의 방문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3월중 회담 테이블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북한은 '선남후미'(先南後美) 행보 펼듯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에 선뜻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부시 대통령이 서울에 와서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불신감을 강하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 북.미 대화는 큰 진전을 보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강하다. 그렇다고 북한이 대화촉구를 마냥 피해갈 수는 없는 상황이다. 북.미간에는 WMD 뿐만 아니라 경수로 건설지연에 따른 보상문제 등 대화를 재개해야할 이유들이 많이 있다. 이와 함께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는 북한으로선 대화에 응하면 각종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미국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북한은 일단 남북대화에 우선순위를 둔 뒤 북.미 관계 개선을 모색할 공산이 높은 편이다. 남북대화를 통해 부시 대통령의 강경수위를 낮추는 전략을 구사할 것이란 얘기다. 실제로 북한은 부시 정권 출범이후 과거 클린턴 정부때의 '통미봉남'(通美封南,남한보다는 미국과 우선 협상) 정책에서 벗어나 '선남후미'(先南後美)에 무게중심을 둬왔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