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5:54
수정2006.04.02 05:57
민주당은 28일 '당 발전과 쇄신을 위한 워크숍'을 열어 전당대회 시기 등 정치일정과 상향식 공천제도를 비롯한 당발전 방안에 관해 난상토론을 벌였다.
민주당은 30일 '국민토론회'를 거쳐 당안팎의 여론수렴을 마무리한 뒤 이를 토대로 당발전.쇄신특별대책위에서 전당대회 시기 등 쟁점별 집중논의를 통해 내달 중순까지 정치일정과 지도체제 개편안을 확정할 예정이나 이날 워크숍을 통해 정치일정과 지도체제 개편방향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워크숍 이후 당론이 최종 확정되기까지 정균환(鄭均桓) 총재특보단장이 회장으로 있는 중도개혁포럼과 개혁파 연합세력인 쇄신연대간 지도체제 개편, 대의원 수 증원 및 선출 방식 등에 대한 격렬한 논란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각 대선주자 진영도 자신들의 유.불리 계산에 따라 이 논란에 가세함으로써 이 논란의 원만한 수습여부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총재직 사퇴이후 민주당의 자생력을 가늠하는 중대한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특대위가 그동안 지구당위원장과 당무위원 등 300여명에 대한 개별면담을 실시한 결과 내년 2월이나 3월중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와 대선후보를 함께선출하되, 선거운동 기간에는 후보가 대표를 겸임하고 선거후엔 자동분리토록 하자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특대위원들은 전했다.
또 총재직을 폐지하고 선출직 최고위원들로 집단지도체제를 구성, 이들중 대표최고위원을 두는 방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대표최고위원의 권한에 대해선 형식적 당대표로 하는 방안과 인사권과 공천권 등의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단일성집단체제로 하는 방안이 엇갈리게 나타났다.
특대위 부위원장인 임채정(林采正) 의원은 기조발제문을 통해 "지역주의에 기반한 1인 지배체제, 파벌과 정쟁, 비민주적인 공천시스템, 고비용저효율의 국회운영및 선거문화, 이에 따른 국가경영조직의 부실 등 누적된 낡은 질서를 걷어내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새로운 정당으로 거듭 태어나라는 게 시대적 요구"라며 "우리당은 이번 쇄신을 통해 유권자 중심의 정당, 급변하는 21세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현대정당, 국가적 비전을 창출하는 정책정당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우리당은 노선에선 역사적 정당성을 담보했으나 행태에선 구태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의 위기상황을 초래한 점을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며 "우리당의 변화는 1차로 젊은 세대의 참여와 지지를 받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워크숍엔 여의도 전국 지구당 위원장과 당무위원, 상임고문 등 당 지도급인사 250여명이 참여, 분임토의와 종합토론을 거쳐 이날 오후 당의쇄신과 발전을 다짐하는 결의문을 채택한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