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중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발생한 남북한군의 단발적인 총격사건으로 이 지역이 한 때 긴장상태에 빠졌다. 이날 사건은 북한군 경계초소(GP)에서 7.62㎜ 기관총 2-3발이 발사되자, 우리 군 초소에서도 15발을 응사하면서 일어났지만 남북간 화해와 협력시대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적지않은 파장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는 북측의 이같은 행위를 일단 '단순 오발'로 추정하면서도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조사반의 현장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며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합참의 이런 반응은 북한군 병사 수십명이 지난 9월 19일, 20일 두 차례에 걸쳐 군사분계선(MDL)을 30-40m 가량 넘은 사건에 이어 최근에는 북측이 남측에 대해 DMZ내에 곡사포와 전투장갑차를 배치하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사건이 터졌기 때문이다. 특히 북측 초소는 지난 98년 6월에도 유사한 사건을 일으킨 곳이어서 군당국은 북측의 '계산된 행위' 여부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즉 미국의 테러사태 이후 취해진 비상경계조치와 연관해 우리 군의 반응을 떠보겠다는 속셈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군은 미국의 테러참사 이후 우리 군 비상경계태세를 문제삼아 남북회담일정이 파행을 겪고 있는 시점에서 발생한 이번 사건의 파장이 확대되길 원치않는 분위기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유엔사 군정위 조사반의 현장조사가 끝나는 대로 북측에 군정위비서장급 접촉 제의 또는 항의 서한을 보낼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군이 이 사건을 북측 병사들의 우발적인 행동으로 일차 판단한 것은 우리 군의대응사격이 있자 북측의 특이한 군사동향이 없었다는 점을 꼽고 있다. 즉 고의적인 행위였다면 상대측의 응사에 즉각 대응사격을 가했어야 하는데도 그렇지 않은 것은 북측 병사들이 '실수'를 인정하고 사건 확대를 원치 않은 것으로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을 맞고있는 시기에서는 이런 사소한 사건도 대북여론을 악화시킬 수 있는 충분한 소재가 된다는 점이다. 특히 양측 군당국은 경의선철도 연결과 금강산 육로관광, 임진강 수방사업 등 군사적으로 협력할 부분들이 많아 제1차 국방장관 회담이후 쌓아온 신뢰관계 유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방부 관계자는 "남북한 양측이 정전협정을 제대로 준수하는 것이 현재로선 유일한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이라고 언급한 것도 그같은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sknk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