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내 최대 계파이자 집권 중추세력인 동교동계가 10.25 재보선 패배 이후 불거진 당정쇄신과 대선후보 선출시기 등 정치일정을둘러싼 분란을 거치면서 급속한 분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교동계 핵심인사들을 겨냥한 야당의 잇따른 비리의혹 폭로공세와 소장개혁파 의원들의 공격으로 동교동계의 대국민 이미지가 크게 실추된 데다, 범동교동계를 형성하고 있던 의원들의 국정 및 당 운영 과정에서의 소외감이 누적된 데 따른`원심분리' 현상으로 풀이된다. 동교동계는 지난해 8.30 전당대회를 전후해 권노갑(權魯甲) 전 최고위원과 한화갑(韓和甲) 최고위원, 한광옥(韓光玉) 대표 등 3개 축을 중심으로 분화될 가능성을안고 있었으나 지난 9월 한 위원이 당정개편 과정에서 경선도전을 선택하고 `내 갈길을 가겠다"고 선언하면서 `3각 분화'가 사실상 공식화됐다. 김옥두(金玉斗) 의원이 한 위원의 경선도전 선언후 "우리를 동교동계 구파로 부르지 말라"며 "사심을 가진 사람은 더이상 우리 동교동계가 아니다"라고 말한 것도3각 분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발언이다. 한광옥 대표 체제는 권노갑 전 위원이 이끄는 동교동계 구파와의 연대에 의해가능했으나 재보선 이후 한 최고위원과 소장파 연대세력의 당정쇄신 요구에 도전받고 있는 상황이며, 쇄신론이 대세를 이루면서 양측의 연대도 다소 느슨해졌다. 쇄신파 의원들의 정계은퇴 요구에 맞서 권 전 위원의 입장을 적극 옹호하고 나선 인사도 김옥두 윤철상(尹鐵相) 이훈평(李訓平) 의원 정도에 불과해 세력 축소가가시화되는게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됐다. 범동교동계의 `탈(脫) 동교동' 조짐도 주목거리. 안동선(安東善) 상임고문은 권전 위원의 정계은퇴 주장에는 반대하면서도 "청와대 인사정책이 잘못이지만 동교동계가 전혀 무관하다고는 할 수 없다"며 "이제 동교동계 안 한다"고 밝혔다. 이윤수(李允洙) 의원은 아예 "민심수습을 위해서는 동교동계내 지탄받는 1-2사람을 정리해야 한다"며 소장파에 가세했다. 특히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뜻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던 동교동계가 대선후보 조기가시화 등 정치일정을 놓고 의견을 달리한 것도 결집력 약화를 보여준대목이다. 권 전 위원의 측근이자 이인제(李仁濟) 최고위원에 대해 우호적인 발언을 해왔던 이훈평 의원은 재보선 패배 직후 "후보 조기가시화가 필요하다"며 조기 전대론에불을 붙였고, 조재환(趙在煥) 박양수(朴洋洙) 의원 등도 가세했다. 이에 대해 김옥두 의원은 조기전대론에 따른 당내 분열 확산을 막기 위해 "개인의견일뿐 동교동계 구파의 의견이 아니다"며 부인하고 나섰는데, 이는 중요 사안에대해 거의 이견이 없던 동교동계 분위기에서는 다소 이례적이다. 당 주변에서는 이러한 동교동계의 결집력 약화 조짐은 향후 본격적인 대선후보경선 국면으로 접어들게되면 소속의원들의 개인적인 후보 선호도에 따라 한층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