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의 테러사태와 관련해 24일 발표한대미지원은 주요 동맹국인 미국에 대한 협조와 지원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반테러국제연대에 대한 적극적인 동참의지를 천명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여나가기 위한 다목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테러와의 전쟁'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강화하려는 이러한 우리 정부의입장은 미국측으로부터 구체적인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테러지원 방안을마련했다는 데서도 분명하게 확인된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인 김하중(金夏中) 외교안보수석도 "앞으로 미국의 대(對)테러 대응조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는 자세를 분명히 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미지원 의지는 전투병력 파병을 제외하고는 전투지원,의료지원, 수송지원 등 포괄적인 군사적인 지원이 이번 조치에 포함된데서도 잘 드러난다. 우리 정부가 이날 군수지원을 골자로 한 대미 지원방안을 발표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지원의사를 직.간접으로 표명한 전 세계 122개국 가운데 전투병력을 파병키로한 영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등 4개국을 제외하고는 가장 강도높은 지원방안을밝힌 나라에 포함되게 됐다는게 정부측의 설명이다. 세계 각국의 미국에 대한 지원현황을 보면 전투병력을 파병키로 한 4개국 이외에 ▲일본, 독일, 스페인, 파키스탄 등 18개국이 군수지원을 ▲인도, 필리핀, 이집트 등 41개국이 편의제공, 첩보공유 등 간접지원을 ▲우리나라를 비롯, 중국, 러시아 등 55개국이 정치적인 지지 등 국내지원 방안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날 전투지원, 의료지원, 전투근무지원 등 군수지원 방안을발표함으로써 4단계 지원국에서 일약 2단계 지원국으로 대미지원의 수준을 격상시키게 된 것이다. 특히 정부는 이같은 '고강도 지원 방안'을 미국측의 구체적인 지원요청이 없는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발표함으로써 미국의 맹방이자 세계평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국가라는 이미지 제고효과를 거둘 수 있게됐다. 이같은 정부의 신속한 대미 지원방안 발표는 지난 90-91년 걸프전 당시 5억 달러의 전쟁비용 분담과 의료지원반 및 수송기 파견 등 '상당한 지원'을 했음에도 불구, 주도적으로 대미지원 입장을 밝히지 못해 전쟁종결후 국제사회로부터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한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김하중 사무처장도 "실제적인 군사공격이 시작된 후보다 그 이전에우리의 지원계획을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일본이 자위대 파병을 검토하는 등 주변국들의 적극적인 대미지원 움직임도 우리 정부로 하여금 서둘러 대미 지원방안을 발표토록 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대미지원이 우리나라도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대 테러전 지원이라는 점도 감안됐다. 한반도 안보를 지탱해주는 중심축인 미국과의 전통적인 동맹관계 이외에 이러한여러가지 요인과 국제사회의 동향 등을 검토한 끝에 정부는 전투병 파병을 제외하고가장 높은 수준의 대미지원을 결정하게 됐다는게 외교당국자들의 설명이다. 아울러 정부는 미국측이 전쟁분담금을 요청해올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김하중 외교안보수석은 이와관련, "이번 대미지원 방안은 비용지원 지원을 제외하고는 걸프전때와 비슷한 수준"이라면서 "분담금 문제는 앞으로 상황을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전투병 파병문제에 대해 "지금 그 문제에 대해 말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다"면서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김 수석은 미국으로부터 전투병 파병요청이 없었다면서 "전투병력을파견하는 문제는 전투상황, 국제적인 동향, 미국의 요청수준, 국민들의 여론, 우리나라와 중동 및 아랍권과의 관계 등을 종합해 검토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