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테러 대참사에 대한 응징이 오사마 빈 라덴 및 그를 보호하는 아프간 탈레반 정권에 대한 단순한 보복공격 이상일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한 가운데 한국이 반(反) 테러전에 어느 정도로 참여할 지가 주목된다. 특히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대통령간 통화, 한승수(韓昇洙) 외교장관-콜린 파월 국무장관 회담을 통해서 우리 정부가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정신과미국의 동맹국으로서의 '필요한 모든 협력과 지원' 및 테러근절을 위한 국제적 연합(international coalition) 참여를 다짐함으로써, 테러응징 조치와 관련한 한국의 적극적인 지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의 반테러전 참여 범위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로, 미국조차 '새로운 전쟁'이라고 말하고 있는 '테러와의 전쟁' 개념이 더욱 구체화된 뒤에나 점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 미국은 19일 한미 외무회담이나 양국 정상간 통화에서 구체적인 지원을 요청하지는 않았고, 우리 정부도 걸프전 당시의 지원 내역을 토대로 지원범위에 대한 본격 검토작업에 들어갔지만, 지금까지 재래식 전쟁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이번 반테러전이 전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섣불리 지원범위를 얘기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도 적극적 참여를 약속한 테러근절을 위한 `국제적 연합'이라는 개념이 관심을 끌고 있다. 아직까지 구체화되지 않은 이 개념은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테러조직 섬멸을 위한 다국적군 구성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관측과 함께 전세계적 테러 네트워크 와해를 위한 각국의 공동 정보수집, 자금근절 조치 및 테러리스트 색출 검거 작업을위한 연합체 구상일 것이라는 등의 갖가지 관측들이 제기되고 있다. 만일 미국이 반테러 국제연합 차원에서 테러응징을 위한 다국적군 구성을 우리측에 요청해 올 경우 우리 정부는 이를 거절하기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들은 "웬만하면 다 협조해 줘야 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말하고 있고, 실제 우리 정부내에서는 테러가 국제적 범죄이자 우리와도 연관된 문제라는 점에서 비전투병력 외의 전투병 파병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아울러 앞으로 수년이 걸릴지 모를 테러와의 전쟁비용의 일정액을 우리측이 분담할 가능성도 있고, 유엔총회 의장국으로서 유엔 안보리와 총회에서의 테러규탄, 응징여론 결집, 경찰.정보기관을 망라한 국제적 정보.수사기관간 반테러 공조를 통한 테러조직 색출 등의 작업에 다양하게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