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수(韓昇洙) 외교통상부장관은 2일 "남북한관계는 엄격한 상호주의보다는 포괄적 상호주의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한반도 문제해결에 있어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이날 런던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강연을 통해 지난해 6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에서의 새로운 상황은 3가지 새로운 도전을 제기했다며 이같이말했다. 한 장관은 "포용정책에 대한 북한의 대응이 일관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북한은 자신이 처한 딜레마에 대한 확실한 해답을 찾지 못한 가운데 모호하고 주저하는 태도를 계속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최근 북한의 태도변화가 본질적이고 전략적인 것인지 아니면 전술적인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한 장관은 말했다. "따라서 남.북관계의 모멘텀을 어떻게 유지해나가느냐가 문제"라고 한 장관은말했다. 한 장관은 이와 함께 포용정책의 여러 측면 가운데 무엇에 우선을 두느냐고 새로운 도전의 하나라며 "인도적 지원, 대량살상 무기, 재래식 무기, 인권 등이 궁극적으로 모두 해결돼야 하나 이를 위한 관계당사자들 간의 역할 분담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한국정부의 대북 포용정책 추진배경에 대해 "봉쇄.강제는 냉전기를통해 수동적이고 정태적 방법임이 이미 입증됐으며 따라서 포용정책이 한반도에서항구적 평화를 실현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한국정부는 북한이 처한 딜레마, 한국내 대북정책에 대한 견해차이 등에도 불구하고 포용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왔다고 설명했다. 한 장관은 국제사회가 탈 냉전기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북한에 대해 경쟁이 아닌 협력의 접근법을 채택한 데다 북한도 이를 통한 경제회복이 장기적으로 유일한방안임을 인식해 포용정책에 호응해왔다고 말했다. 동북아 정세에 대해 한 장관은 유럽연합(EU)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를 중심으로 통합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유럽과는 달리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주요국간 세력관계의 변화가 계속되고 있는 동북아에서는 안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많은 인구, 경제적 역동성, 군비증강 추세 등이 동북아의 불확실성을 더욱 복잡하게 하는 요소"라고 지적하고 "중.미 관계는 향후 아.태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가장 중요한 축이 될 것이며 미.일 동맹관계와 동북아에서 점증하는 상호의존추세가 이 지역의 안전을 보장하는 요소로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런던=연합뉴스) 김창회특파원 chkim@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