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8일부터 사흘간 본회의를 열어 추경예산안, 국방.통일 장관 해임건의안, 민생법안 등 현안을 처리할 예정이나여야간 현격한 입장 차이로 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당과 자민련은 시급한 민생현안인 추경예산안의 회기내 처리를 관철시킨다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여당이 해임건의안 처리에 응하지 않을 경우 국회 의사일정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국회 파행도 우려된다. 이에 따라 28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부패방지법 등 17개 안건을 제외하고 모성보호법,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등 상당수 민생.개혁법안의 처리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 추경예산안은 회기내에 처리하고 해임건의안은 야당의 `정치공세'로규정, 처리에 응하지 않기로 했다. 또 언론사 세무조사 및 북한상선 영해침범과 관련한 국정조사도 수용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민주당은 이날 김중권(金重權) 대표 주재로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열어 자민련, 민국당과의 철벽공조를 통해 민생현안은 처리하되 야당의 정치공세는철저히 차단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추경예산안의 30일 본회의 처리를 위해 이날 오후부터 29일오전까지 각 상임위별로 추경예산안에 대한 예비심사를 마무리하도록 독려하는 한편29일 오후 예결위를 열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임동원(林東源) 통일, 김동신(金東信) 국방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은 국회의장이 28일 본회의에서 안건 제출 보고를 하도록 허용하되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표결처리에는 아예 불응키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다만 해임건의안 표결 처리 가능성에 대비해 자민련과 민국당에 협조를 구하는한편 의원외교 활동중인 의원 1명을 제외한 당 소속 의원 전원에게 `국회 대기'를긴급지시했다. 이에 따라 와병중인 이원성(李源性) 의원도 국회에 출석할 예정이다. 또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국정조사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야당의 공세가 계속될 경우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조치와 사법처리 등이 끝난 이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내부 전략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28일 본회의에서 처리되기 어려운 법안중 화급한 민생법안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모성보호법 등에 대해서는 해임건의안, 추경예산안 등을 둘러싼 여야 대결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분류해 처리할 방침이다. ◇ 한나라당 = 통일.국방장관 해임건의안과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국정조사를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날 당3역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어 이같은 입장을 재확인하고 소속의원들의 적극적인 대처를 거듭 당부했다. 특히 해임건의안의 경우 정상적인 표결이 이뤄질 경우 자민련 등 여권내 이탈표로 승산이 충분하다고 보고 당소속 의원들에게 표결참여를 독려하는 등 표단속에 나섰다. 여당이 집단퇴장 등 `변칙수단'을 동원할 경우의 대비책도 마련키로 했다. 이와함께 한나라당은 언론 국정조사 관철에 당력을 결집키로 하고 이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회창(李會昌) 총재는 "정부 여당이 세무조사가 언론개혁 차원에서 법에 따라이뤄졌다고 주장하는데 이게 진심이라면 국정조사에 응해야 한다"면서 "국정조사 관철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오(李在五) 총무는 "언론 국조와 국민건강보험 국조는 반드시 실시돼야 한다"면서 "여당이 이를 거부하면 국회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은 언론 국조와 추경예산안 편성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북한 상선 영해침범과 `밀약설'에 대한 국정조사의 경우 여당이 통일.국방장관 해임건의안에 정상적으로 참여하면 실시 시기를 연기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고 있다. ◇자민련 = 통일.국방장관 해임건의안, 언론사 세무조사 국정조사, 추경안 등막바지 쟁점현안에 대해 "민주당과 공조의 큰 틀에서 해법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해임안에 대해서는 소속의원들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야당측의 표결요구에 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언론사 세무조사 국정조사는 수용할 수도 있는것아니냐는 신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완구(李完九) 총무는 "자민련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풀어갈 입장은 아니지 않느냐"며 "2여 공조차원에서 해법을 찾겠다"고 원론적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특히 "해임안-추경-국조 등 첨예한 쟁점들은 여권내 선택의 문제로 총무협상력 밖에 있다"며 "여권의 입장이 정해지면 이상수 총무와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sangin@yna.co.kr hjw@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상인 황정욱 이강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