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관련 보도는 대부분 직접취재가 불가능하고 자칫 이데올로기 논쟁에 휘말릴 위험이 있으므로 추측성 보도나 속보경쟁 또는 센세이션을 위한 보도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동익(金東益) 중앙일보 고문은 14일 오후 2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한언론인회(회장 신우식) 주최 「북한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주제의 토론회에서 발제자로나서 이렇게 말했다. 김 고문은 잘못된 북한보도의 대표적인 예로 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기 3~4년 전 조선일보가 1면 톱 기사로 김일성 사망설을 보도한 예를 들었다. 또 지난달 초 북한 김정일 위원장의 장남 김정남의 '일본잠입사건'의 경우 사건자체는 물론 김정일의 이력에 관한 보도에서도 오보가 많았다고 김 고문은 밝혔다. 'B신문'은 김정남이 95년에 인민군대장이 되었다고 크게 보도했지만 95년이면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지 1년도 채 안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현직인 국방위원장이나 주석, 총비서로 취임하지도 않았던 때이고 북한 핵개발 문제로 긴장이 첨예했던때로 그런 시기에 24세의 김정남을 대장에 임명했을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군부 내 오진우와 오극열의 불화설을 보도하면서 이를 북한군부 전체의 분열로 확대하고 쿠데타 가능성을 예견했고 ▲김정일-김평일 형제의 불화설을 보도하면서 김평일의 유럽망명 소문을 사실로 속단했고 ▲김일성 주석 사망과 관련해 부자가 묘향산 별장에서 격론을 벌이다가 그 충격으로 김 주석이 졸도했다고 보도한것은 추측성 보도의 대표적 예라는 것. 김 고문은 이어 "통일을 어렵게 생각한다거나 비관적으로 보는 견해, 혹은 냉정하게 다루자는 의견을 '반통일세력'으로 규정짓는 것은 잘못"이라며 "개인적 입지때문에 통일을 겁낼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런 사람들이 '세력'으로는 존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고문은 끝으로 "앞으로의 남북관계의 진전을 냉정하게 관찰하고 국민의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는 언론 밖에 없다"며 "남북간 화해와 협력, 평화체제의 구축과 통일방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고 방안이 논의되어 합의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언론의 역할이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k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