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방문중인 김대중 대통령은 9일 오전(한국시간) 미국 기업연구소(AEI)와 미국외교협회(CFR)가 공동 주최한 간담회에 참석, ''한반도 냉전종식과 화해협력의 시대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연설한뒤 참석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크리스토퍼 디무스 AEI 회장, 폴라 도브리안스 CFR 부회장, 제임스 울시 전 CIA 국장, 제임스 릴리 전 주한 미대사 등이 참석했다.

다음은 간담회 일문일답 요지.

―미국 언론은 한.러 정상회담 이후 나온 공동성명에서 미국의 국가미사일방어(NMD) 체제문제와 관련해 ''한국이 러시아편을 들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설명해 달라.

△김 대통령=그런 문제가 제기된데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즉각 외교통상부 장관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러시아측에서 NMD에 반대하자고 강력히 요청했으나 우리는 거절했다.

―미국의 신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검토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는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에서 ''평화선언''이 나올 가능성은.

△김 대통령=미국 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시간이 길지, 짧을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대북정책 수립과정에서 한.미 양국이 계속 협의해 나간다는 것은 틀림없다.

평화선언에 대해선 그렇게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평화협정은 남북한과 미국, 중국 등 한국전쟁 참전국 4자회담에서 논의될 문제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부시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수출과 대량 살상무기 수출 문제가 해결돼야 북.미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김 대통령=부시 대통령의 의견에 찬성한다.

부시 행정부 당국자들에게 포괄적 상호주의를 제안했다.

우리는 북한으로부터 세가지를 받고 세가지를 주는 상호주의가 좋다고 얘기했다.

우리가 북한으로부터 받는 세가지는 △첫째, 제네바 합의의 철저한 준수 △둘째, 미사일 제조에서 판매까지 완전한 해결 △셋째, 남한에 대해 어떠한 무력도발도 하지 않는다는 보장이다.

그러면 우리는 북에 다음 세가지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북한의 안전에 대해 한.미 양국이 보장하는 것이다.

둘째, 적정한 경제협력을 해줄 수 있다.

셋째, 북한의 국제사회 진출과 금융기관의 차관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포괄적 상호주의를 추진하되 이 약속이 실천되는지는 검증해야 한다.

워싱턴=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