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소속이었던 배기선 송석찬 송영진 의원의 입당으로 자민련은 자력으로 원내교섭단체를 구성,정치권은 15대 국회와 마찬가지로 여야 3당체제로 재편되게 됐다.

또 이른바 ''DJP 공조''가 사실상 복원돼 여권의 새해 정국운영 방식도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인위적 정계개편''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신년정국은 벌써부터 급랭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회창 총재는 지난달 31일 ''상생의 정치''를 담은 신년사를 수정하며 대여 공세를 폈다.

오는 4일로 예정된 여야 영수회담 개최여부도 불투명한 형국이다.

이에 따라 새해초부터 내년 대선을 겨냥한 정계개편이 가시화될 것이란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여야 관계 급랭=한나라당은 3인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호외 당보를 발행해 여당을 강도높게 공격한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또 2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리는 국회의장단 신년 하례식에 소속 의원들은 불참시키기로 결정했으며 오는 10일께 제217회 임시국회를 소집해 원내투쟁을 강화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정치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점을 강조한후 한나라당과 상관이 없는 문제인 만큼 야당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여야간 접점을 찾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따라서 한빛은행 및 공적자금 국정조사,민생·개혁법안 심의 등 향후 정치 일정에 차질이 우려되며 야당의 장외투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계개편=민주당과 자민련 지도부는 합당 등 정계개편 가능성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지만 이를 둘러싼 논의는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일단 자민련의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민주당 지도부는 합당을 서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권 내에서 지난 16대 총선때 합당을 하지 못한 것이 패인이었으며 차기 대선 이전 언젠가는 합당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게다가 이번 일로 지난 4·13 총선과정에서 쌓였던 양당간의 앙금이 상당분 해소됐기 때문에 합당론은 언제든 다시 불거질 여지가 크다.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가 통합당의 총재가 되는 것을 거부했던 민주당내 개혁세력들이 최근 ''합당 불가피론''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또 올 초부터 대권주자의 행보가 본격화되고 개헌론을 둘러싼 논란도 심화되면 여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합종연횡''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민국당과 한국신당 등 군소정당의 향배도 관심사다.

특히 야당내 경기·충청지역 출신 일부의원의 이탈설이 제기되고 있어 정계개편 논의는 올 한해 정치권의 가장 큰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