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다시 잇는 경의선 복원공사가 시작됐지만 실제 운영을 위한 통관절차 및 열차운행에 관한 실무사항 등 남북한 당국이 협의해 풀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또 북한측이 단절구간에 대한 복원공사를 우리측과 보조를 맞춰 진행할 지도 주목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경의선이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연계돼 경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러시아 중국 등의 시설 보완도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양측 장관급회담에서 합의한 대로 경의선 철도연결과 도로개설을 위한 실무접촉을 통해 승객 및 승무원,화물에 대한 입출국·세관·검역 등 통관 절차를 중점 협의할 방침이다.

철도영업 및 운전,차량운용,전기·통신연결,안전문제 등도 논의해야 한다.

통관절차와 관련,군사분계선 공동역사 설치 및 운영문제가 최대관심사항이다.

정부는 공동역사를 분리 운영하면서 각각 인원을 파견해 화물을 바꿔 싣는 중국∼러시아 국경역 사례를 모델로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교통개발연구원 김연규 연구위원은 "남북한은 모두 표준궤도를 이용하므로 기관차를 바꾸는 이외의 환적 비용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의 철도는 광궤(1천5백22㎜)와 협궤(1천4백35㎜)가 섞여 있으며 전력방식도 북한은 DC 3㎸이고 남한은 AC 25㎸로 차이가 있어 연결구간에는 기관차의 이중모드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승무원 및 역사 주재원의 상호파견문제,요금정산,열차 운행횟수와 시간표,사고시 협조체계 등에 대해서도 내년 9월 운행전까지 구체화시켜야 한다.

북한측 단절구간에 대한 복원작업이 제대로 진행될지도 관심거리다.

인력은 군병력을 투입해도 비용 조달이 관건이기 때문이다.

장단∼개성간 12㎞를 복원하는 데는 총 8백9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철도 및 도로공사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경우 지원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TSR와 연계될때의 경제효과에 대해서도 아직까진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현대상선 해운연구실 곽창순 연구원은 "경의선이 TSR와 연결돼도 해상운송에 당장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TSR를 통해 1회 수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수는 1백1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인 반면 선박을 이용하면 유럽까지 한번에 4천TEU를 실어 나른다"고 말했다.

곽 연구원은 "TSR가 수송시간의 단축효과를 가져다 주겠지만 철도가 선박의 대형화 추이를 따라오지 못할 것"이라며 "유럽행 화물은 해상운송이,중국과 러시아에는 철도운송이 유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러시아와 북한의 철도궤도가 달라 국경지역에 컨테이너 하역·적재 시설을 별도로 갖춰야 하고 노선 개보수등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해상 운송은 통과검사가 선적전과 도착후 2차례에 불과하지만 철도운송은 수 차례에 걸친 검사,환적·재운반 작업 등이 수반돼 화주의 불만을 초래할 가능성도 높다고 KOTRA측은 분석했다.

경의선 공사중 발생할 수 있는 환경훼손이나 촉박한 공사일정에 따른 부실시공,안전사고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