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보스체제 타파"를 기치로 지난 3월8일 창당한 민국당은 이번 총선의 참패로 존립자체가 흔들리는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

당초 영남권을 중심으로 10석 안팎까지 얻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반DJ정서"에 끝내 무릅을 꿇고 말았다는게 자체 분석이다.

그러나 민국당의 패배는 무엇보다도 창당이념과는 달리 새정치 세력으로서 이미지를 확실히 심지 못한데 따른 것이다.

지도부의 지역구 출마번복 소동, 지역감정 조장, 공천탈락자당이라는 부정적 이미지 등도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민국당 후보들이 끊임없는 구애의 손짓을 했음에도 김영삼 전 대통령이 침묵으로 일관해 특히 부산.경남지역 출마자들이 탄력을 받지 못했다.

"민국당을 찍으면 DJ를 돕는 것"이라는 한나라당의 전략도 주효했다고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의 2.18 공천파동 이후 급조된 구시대 정치인들의 이합집산을 국민들이 준엄하게 심판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장기표 선대위원장은 "금권 관권선거에다 "DJ 대 반 DJ" 지역구도에서 설자리를 찾기 힘들었다"면서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야권분열 책임을 추궁하며 독자적인 활로를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국당의 향후 진로는 극히 불투명하다.

이수성, 김윤환, 박찬종, 신상우, 이기택 등 당 지도부 전부가 침몰, 당의 구심점 역할을 할 인물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민국당은 간판만 내건 유명무실한 정당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와함께 총선 이후 정계개편에서 나름대로 역할을 모색하려 했던 당초 구상은 근본부터 흔들리게 됐다.

김병일 기자 kbi@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