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후 최대 화두는 단연 정계개편이다.

여야 어느당도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3년후 있을 대통령 선거를 겨냥, 대권 경쟁이 벌써부터 고개를 들고 있어 정계개편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여권내에서는 벌써부터 향후 국정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강한 여당 건설"이 불가피 하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과반수에 못미치는 의석을 가지고는 국정운영을 원할히 해나갈 수 없다는게 여권의 기본 인식이다.

소수 여당으로서 지난 2년간 겪은 어려움을 감안할때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김대중 대통령의 남은 임기 3년도 "가시밭길"이 될수 밖에 없다는 현실 인식이 다분히 깔려 있는 것이다.

게다가 6월로 예정된 남북정상회담과 기업구조 조정 등 경제개혁 등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국회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야당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민련 등과의 정책공조도 지난 2년간의 공동정부에서 드러났듯이 한계를 가질수 밖에 없다.

여권의 이같은 인식은 자연스럽게 과반수 의석을 가진 강여건설로 귀착되고 있다.

여권의 방침은 아직 유동적이지만 정계개편을 속전속결로 추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승리의 여세를 몰아 영입에 나설 경우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계산도 다분히 깔려 있다.

정계개편은 대체로 세갈래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우선 민국당 등 군소정당 및 무소속 후보의 영입이다.

비교적 지역색깔 등이 엷다는 점에서 총선 직후 곧바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 및 자민련 인사의 영입에 대해서는 당내 찬반론이 엇갈리고 있으나 소수여당의 한계극복을 통한 정국주도권 장악이라는 차원에서 신중히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도 헤쳐모여식 정계개편을 추진해야 생존이 가능한 입장에 몰려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총선결과에 관계없이 이회창 총재에 대한 당내 비주류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자칫 분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다.

때문에 절대 다수당의 위치에서 밀려난 한나라당은 강한 "제1 야당"의 모습을 갖추지 않고서는 다당제 상황에서 과거와 같이 정국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어렵다는 위기감을 안고 있다.

차기 대선에서 정권창출에 성공하려면 당당한 제1야당의 모습을 유지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따라서 자민련은 물론 민국당이나 친야 무소속 의원들을 끌어들이는데 총력전을 펼칠게 뻔하다.

자민련도 그 세가 확연히 줄어들어 과거와 같은 정국조정자(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기는 역부족이다.

충청권 텃밭이 다소 흔들린 지금 "3김 청산" 바람과 맞물려 당 오너격인 김종필 명예총재의 영향력도 예전보다 못할게 뻔하다.

자민련 일부 당선자들이 민주당이나 한나라당으로 옮겨갈 경우 제3당의 위상을 지키기조차 어렵게 된다.

결국 정치권은 대권 경쟁과 맞물려 어떤 식이든 정계개편을 통한 대대적인 지각변동에 휘말릴수 밖에 없는 지경에 빠져들었다.

정계개편의 폭에 따라 다당제 체제가 양당 체제, 또는 "거여 소야" 구도로 갈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도 벌써부터 흘러 나오고 있다.

김남국 기자 nkkim@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