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총선 승리를 위한 여야및 무소속 후보들의 사활을 건 선거전이 12일 밤12시를 기해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총선 후보들은 16일간의 열전 레이스를 펼치기 전 뉴 밀레니엄에 걸맞은 새로운 선거문화를 창출하겠다고 다짐했지만 흑색선전과 비방, 금권선거 시비 등 과거의 구태는 여전히 반복됐다.

이전에 비해 선거법 위반 사범이 세배 이상 늘어난 것도 이를 반증한다.

그러나 전과와 병역 등 후보자의 신상이 공개됐고 시민단체가 낙천/낙선운동을 벌여 큰 호응을 얻었으며 여야가 정책대결에 몰두한 점 등은 긍정적 변화로 평가받고 있다.

<> 경제 쟁점 부각 = 과거와 달리 선거운동 기간중 비리폭로 등 대형 쟁점이 부각되지는 않았다.

한나라당이 아도니스 골프장 특혜의혹을 제기했지만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다만 경제 문제가 중요한 논란거리가 됐다.

국가채무 국부유출 실업자수 주가하락 등이 주요 이슈였다.

모처럼 정책대결 분위기가 형성돼 다행이지만 여야가 대안 제시를 소홀히 한채 객관적 통계자료를 왜곡하거나 상호 비방에 치중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선거를 불과 3일 남겨 놓고는 남북정상회담이란 대형 재료가 터져 전국이 들썩거렸다.

야당은 총선용이라며 황급히 반격에 나섰고 느긋해진 여당은 ''역사적 사건''임을 강조했다.

<> 시민단체 낙천/낙선운동과 후보 신상공개 =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는 역대 어느 선거보다 후보에 대해 속속들이 알수 있었다.

언론과 인터넷 등을 통해 후보자의 전과, 재산, 납세 내역이 낱낱이 공개돼 선거전의 핵심 변수가 됐다.

각 후보진영에서 이를 근거로 흑색선전을 벌이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으나 유권자의 당연한 알권리를 충족시켰다는 면에서 ''만시지탄''이란 목소리까지 나왔다.

부패정치인 추방을 모토로 내건 시민단체의 낙천/낙선 운동도 선거 판세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부에서 낙천/낙선 대상자를 선정한 기준이 객관적이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됐지만 시민단체의 활약이 여론의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켜 ''유권자 혁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 사이버 선거전 = 여야 모두 젊은층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한 선거전에 몰두했다.

민주당은 사이버 캐릭터인 ''e민주''양을 내세우며 인터넷 방송국을 이용했고 한나라당도 사이버 대변인을 모집하는 등 네티즌 공략에 주력했다.

각 후보진영도 20~30대 젊은층이 전체 유권자의 절반을 넘는다는 점을 감안, 이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

한국경제신문과 포스닥이 공동 주최한 정치인 주주총회와 네티즌 여론조사, 공명선거 구호공모 등도 사이버 선거전을 유도하는데 한몫했다는 평이다.

김남국 기자 nkkim@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