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 혁명의 진두에는 주체혁명, 위업의 위대한 계승자이시며 우리
당과 인민의 탁월한 영도자이시며 우리 혁명무력의 최고사령관이신 김정일
동지께서 서 계신다. 우리당의 세련된 영도는 김일성동지께서 개척하시고
이끌어 오신 주체의 혁명위업을 ''대를 이어'' 빛나게 계승 완성하여 나갈 수
있는 확고한 담보로 된다"

김일성주석의 사망을 특별보도한 평양의 방송매체들은 이같이 김정일이
권력승계자임을 분명히 못박는가 하면 이어지는 추도방송에서도 주민인터뷰
를 통해 새로운 지도자를 향한 "대이은 충성"이 강조되고 있다.

김일성주석의 사망과 관련, 남한을 비롯한 세계의 관심을 모으는 북한권력
의 승계는 이렇게 사실상 이행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서방이 김일성사후 가장 커다란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대목은 바로 북한의 권력승계부분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일단 베일속에 가려진 상태로 모든 과정이 전개되고
있는만큼 궁금증만 그 폭을 더해 가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의 권력승계에 대해 세계의 촉각이 곤두서는 것은 이 과정이 별다른
마찰없이 진행되느냐, 내부적 마찰이 존재하느냐, 집권세력이 엘리트와
주민들에 의해 제대도 인정되느냐 여부에 따라 너무도 많은 변수가 있는
때문이다.

다시말해 북한체제자체의 존속과 붕괴, 여기에 이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변화등 향후 지역정세문제가 있고 서방이 우려하는 핵문제등 집권세력의
대외정책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것이 연결된 고리처럼 맞물려 있는
것이다.

북한권력층의 재편이 우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북정책을 이렇게 한다
저렇게 한다는 식의 논의는 따라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것이 옳다.

현재로서는 김정일의 권력승계를 기정사실화한 상태에서 북한의 움직임을
주시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같은 전제는 김정일체제에 대한 반대세력이 설사 존재한다 해도 김일성
집권 49년의 공고한 체제가 일시에 붕괴된다는 것은 현단계에서는 생각하기
가 힘든 때문이다.

김정일은 일단 오는 17일 김일성주석의 추도대회(장례식)이 끝난 후 국가
주석과 당총비서직을 최고인민회의와 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추대되는 형식
을 밟아 당.정.군을 완전 장악하게 될 것이 확실시된다.

이 과정에서 변수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김주석의 사인이 자연사가 아니고
어떤 세력에 의한 돌출행동임이 확인, 집권세력안에서 일어나는 내부충돌을
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평양의 공식발표에도 불구, 과거 공산지도자들과 달리 시신을
병리해부한 점과 외국의 조문사절을 받지 않는다는 점등 "사고사"의 의혹을
여전히 제기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정일세력의 친위쿠데타일 가능성과 김평일을 중심한
군내부 소장층의 거사가능성을 제기하고 있기도 한데 김평일세력의 행동일
경우는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권력암투와 충돌이 점쳐지기도 한다.

일단 김정일에게 권력이 이양된 것을 전제로 북한의 대내, 대외정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우선 대내정책의 경우 기존의 폐쇄정책을 고수할 것인가 아니면 다소라도
개방된 모습을 보여 주는가 하는 점인데 일단은 후자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김정일은 당연히 김일성에 비해 카리스마적 영도력이 부족하고 경제난과
식량난등 심각한 상황이 정신적 구심점을 상실한 상태에서는 엄청난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대외정책마저도 빠른 속도로 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예상이다.

김정일도 혁명1세대등 기득권세력과의 연대를 중시할 수 밖에 없는데다
내부단속이 어느 것보다 우선하는 절대과제인 까닭이다.

정권의 연속성 담보를 위해서는 내부체제정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이다.

김정일의 대외정책은 과거보다 훨씬 강화된 중국우선정책으로 갈 것이
분명하다.

과거 김일성이 소련정권에 의해 정권유지의 힘을 얻었듯이 절대적 세력의
뒷받침없는 북한권력은 존립기반이 흔들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고실권자인 등소평을 비롯한 중국의 지도층들이
평양에 보낸 조전에서 김정일후계체제를 인정한 것은 김정일세력으로 하여금
상당한 정통성과 자신감을 갖게 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정일의 북한이 어느 정도의 존속성을 가질 것인가 하는 점도 점치기
힘든 대목이다.

이에대해 전문가들은 김정일의 경제치적이 관건이 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김일성은 "주체"라는 이데올로기로서 주민들을 이끌었고 심각한 경제난도
사상투쟁으로 잠재울수 있었지만 김사후도 이것이 과연 가능하냐는 점이다.

그러나 경제재건에는 필연적으로 개혁과 개방정책이 뒤따라야 하고 이같은
정책추진이 상당한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이 분명한만큼 어떤 접근방법을
취할 것인가가 북한당국의 최대 딜레머임은 확실하다.

이런 이유로 해서 김정일체제의 존속기간은 "3분에서 30년까지"식의
희화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김정일체제의 전망과 관련, 한 재미학자는 "김정일이 권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결국 보안기구나 군부에 엎혀야 하고 국내불안요소가 많은만큼
과거보다 더욱 강경한 주민통제정책을 펼치게 될 것"이라고 밝히고 "권력
변화와 시장개방이라는 대변환을 함께 겪으려 하지 않을 것인만큼 2-3년간
대외정책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