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정기총회가 이달 23일로 다가온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을 임시 사령탑으로 영입한다. 후보로 거론된 회장들이 하나 같이 고사하자 일종의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김 회장에게 지배구조 정비와 수습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상황이 수습될 때까지만 할 생각이고 하루빨리 원래 주인인 재계 인사들이 맡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경제단체가 오죽하면 정당이 고육지책으로 선택하는 비대위 체제를 꾸릴까 싶지만, 한편으로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은 생각도 드는 게 사실이다. 김 회장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돕기 위해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고 새 정부 출범 후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지냈다. 가뜩이나 전경련은 과거 정권에서 심심찮게 정경유착의 오명을 뒤집어쓴 전력이 있다. 누가 봐도 현 정부에 가까운 김 회장이 전경련 비대위원장을 맡는 것은 여러모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4대 그룹 총수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설득하겠다는 김 회장의 뜻이 적절한지도 의문이다. 자칫 정권의 힘을 앞세워 기업인을 압박하는 모양새로 비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당사자들이 전경련 복귀를 원하지 않을 것 같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6년 국회 청문회에서 전경련 탈퇴를 공식 약속까지 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에서 자유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수호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전경련 부활이나 위상 강화를 통해서만 가능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 과거 개발경제 시절처럼 정부가 기업에 경제자원을 배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계가 분업적 협력을 해가던 시대도 아니다. 더욱이 회장직 고사가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다. 적임자를 못 찾아서 총회 때마다 이 사람 저 사람 등을 떠민 기간이 벌써 20년이 넘었다. 회장단 스스로 용기를 내지 못하면서 전경련의 이념적 가치를 누구에게 지켜달라고 한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