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실리콘밸리 '최대 사기극' 홈스 사태가 K바이오에 주는 교훈
“11년도 너무 약한 것 아니에요?”

지난 18일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 테라노스의 창업자 엘리자베스 홈스가 사기 등의 혐의로 선고받은 11년3개월의 징역형을 두고 국내 한 바이오기업 대표가 한 말이다. 홈스는 피 한 방울로 200개가 넘는 질병을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했다며 단숨에 실리콘밸리 스타로 등극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홈스의 키트는 10여 개의 질병만 진단 가능한 수준이었고 실리콘밸리의 슈퍼스타는 ‘거짓말쟁이’의 상징이 됐다.

홈스 사태가 주는 교훈은 명확하다. 거짓말은 안 된다는 것이다. 신약 및 첨단 의료기기 개발은 성공 확률이 낮다. 신약은 초기 물질발굴단계부터 따지면 판매 승인을 받을 확률이 2~3%에 불과하다. 반대로 말하면 97~98%는 실패하는 것이 정상인 산업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투자자 대다수는 ‘임상 실패’를 신약 개발 자체의 실패로 받아들인다. 임상 디자인을 바꿔가며 성공의 길을 찾는 과정이라는 인식이 부족해서다. 이렇다 보니 임상 결과를 과대 포장하거나 실패를 감추는 일이 잦아졌고 그 때문에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 최근에도 국내 바이오 기업 몇 곳이 임상 결과를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바이오 신뢰 추락은 주가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KRX헬스케어지수는 올해 1월 초 3751.82에서 23일 기준 2725.99로 27%가량 하락했다. 같은 기간 에너지화학지수가 14% 빠진 것에 비하면 낙폭이 컸다. 환율 민감도가 높은 자동차(24%)보다도 헬스케어지수가 더 빠졌다.

홈스가 벤처캐피털(VC)업계에 던지는 교훈도 가볍지 않다. 당시 실리콘밸리를 대표하는 벤처캐피털 세쿼이아를 포함해 대형 벤처캐피털이 연달아 테라노스에 투자했고, 그 뒤에도 여러 벤처캐피털과 개인투자자들이 줄줄이 투자했다. 신중하지 못했던 벤처캐피털의 움직임에 일반 투자자들은 막심한 손해를 떠안았다.

국내 벤처캐피털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5~6년 전 국내 바이오 투자 붐이 불자 대형 벤처캐피털들은 비싼 가격에 포트폴리오를 담았고 그 뒤에 작은 벤처캐피털, 그리고 개인투자자들이 줄을 섰다. 바이오산업처럼 기술 검증이 어려운 분야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협회 차원에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도움을 받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바이오업계와 투자업계, 정부가 모두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