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을 보내며(送人)


비 개인 긴 둑에 풀빛 짙은데
남포에서 임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꼬,
이별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 보태거니.


* 정지상(鄭知常, ?~1135) : 고려 시인
--------------------------------
[고두현의 아침 시편] 왜 하필 남포(南浦)에서 이별할까
고려시대 최고 서정시인으로 꼽히는 정지상의 절창입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시재(詩才)가 뛰어나서 5세도 되기 전에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요. 강 위에 뜬 해오라기를 보고 ‘어느 누가 붓을 집어/ 을(乙) 자를 강물 위에 썼는고’라는 시를 즉석에서 지을 정도였습니다.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이 시에서도 천재적인 감성을 보여줍니다. 제목은 『동문선(東文選)』에 ‘송인(送人)’으로 기록돼 있지만, 『대동시선(大東詩選)』에는 ‘대동강(大同江)’이라고도 적혀 있습니다.

봄비 그친 강둑 위로 풀빛이 푸르러오는데 정든 임과 이별하는 가슴은 슬픔으로 미어집니다.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이 강물에 떨어지니 대동강 물인들 마를 날이 있을까요. 참으로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입니다. 대동강 부벽루에 걸린 이 시를 보고 중국 사신들이 모두들 탄복했다고 하지요.

대동강 하류에도 남포가 있지만…

그런데 헤어지는 장소가 왜 하필이면 남포(南浦)일까요? 어떤 사람은 대동강 하구에 있는 남포를 가리킨다고 말합니다. 한때 증남포, 진남포로 불렸던 곳이지요. 하지만 한시를 좀 아는 분들은 빙그레 웃음을 짓습니다. 남포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이후 거의 모든 시인에게 이별을 상징하는 정운(情韻)의 시어로 쓰였기 때문이지요.

정민 한양대 교수도 『한시 미학 산책』에서 “남포라는 단어에는 유장한 연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연원의 끝에 중국 문학사상 가장 오래되고 최고로 평가받는 시인 굴원(屈原)이 있습니다.

굴원은 기원전 300년 무렵에 쓴 ‘구가(九歌)’ 중 ‘하백(河伯)’에서 ‘그대의 손을 잡고 동으로 갔다가/ 남포에서 떠나보내네’라고 노래했지요. 이 구절을 보고 무릎을 친 후대 시인들은 실제로 헤어지는 포구가 동쪽이든 서쪽이든 북쪽이든 간에 모두 다 남포라고 읊었습니다.

중국 남조시대 강엄(江淹)도 ‘별부(別賦)’에서 ‘봄풀은 푸르고/ 봄물은 초록 물결/ 남포에서 그댈 보내니/ 이 슬픔 어이하리’라고 노래했지요.

당나라 무원형(武元衡) 또한 ‘악저송우(鄂渚送友)’에서 ‘강 위 매화는 무수히 지는데/ 남포에서 그댈 보내니/ 마음만 안타깝다’고 했습니다. 당나라 시인 맹교(孟郊)의 ‘별처가(別妻家)’ 중 ‘부용꽃 새벽이슬 젖어 있는데/ 가을날 남포에서 헤어지누나’도 마찬가지이지요.

‘그대여 뒷기약 잊지 마시게’

정지상이 쓴 같은 제목의 또 다른 이별시 ‘임을 보내며(送人)’에도 남포가 등장합니다.
‘뜰 앞에 나뭇잎 지고, 마루 밑 벌레 슬프네./ 홀홀이 떠나는 것 말릴 수 없네만, 유유히 어디로 가는가./ 한 조각 마음은 산 다한 곳, 외로운 꿈엔 달 밝을 텐데/ 남포에 봄 물결 푸르를 때, 그대여 뒷기약 잊지 마시게.’

떨어지는 나뭇잎과 벌레 소리에 빗대 정인을 보내는 슬픔을 노래한 시입니다. 산이 다한 곳까지 함께 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고, 이별한 뒤 외로이 꾸는 꿈이 밝은 달빛 같은 것이라며, 잊지 말고 다시 만나자는 약속을 부디 어기지 말라는 기원까지 담았지요. 떠나는 것에 대한 슬픔이 큰 만큼 다시 만날 희망도 간곡합니다.

가을에 이별하며 봄에 만날 것을 기약하는 심정이 구구절절 가슴에 와닿습니다.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데에 계절의 구분이 따로 있겠습니까만, 자연의 이치처럼 잎이 지면 그 자리에 언젠가 새잎이 돋겠지요.

바쁘게 사느라 잊고 지내다가 불현듯 생각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의 마음 뿌리에서도 그리움의 싹이 자라고 있겠지요. 이별할 때 맺은 뒷기약처럼, 그곳에서 붉게 피어날 봄꽃을 기다리는 마음 또한 애틋하고 정겹습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