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 대학의 시계는 몇 시인가. 몇몇 사립대에서 부활한 ‘취득 교과목(학점) 포기’ 제도는 또 한번 ‘학점 인플레’를 예고한다. 가뜩이나 불신받는 대학학점이 강좌 부실로 연결되면서 취약한 대학 교과과정의 단면을 극명히 보여주는 듯하다.

학점 포기는 학생 스스로 이미 취득한 성적의 포기를 허용하는 제도다. 폐강 등으로 재수강을 못 하게 된 강좌의 학점을 버리고 다른 수업을 듣게 해주는 것인데, ‘학점 세탁’ 통로로 이용되는 게 문제다. 코로나에 따른 비대면 수업이 이어지면서 ‘학생 편의’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다. 2학기부터 적용하는 대학들을 보면 시행 폭도 넓어질 전망이다. 성적 평가에 불만인 학생들은 이 제도로 평점이 나쁜 과목을 다 없애려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안 그래도 절대평가 등으로 잔뜩 후해진 대학 학점이 더 부풀려질 게 뻔하다. 외부에서의 학업성취도 평가도 어려워 기업 등이 새 인력을 뽑을 때 성적 변별력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수업·평가 이전에도 이런 우려가 있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4년제 대학생 88%가 과목별로 B학점 이상을 받았다. 전년도 72%에서 이렇게 치솟았다. 이름이 꽤 알려진 수도권 모 대학은 지난해 학생 3분의 2에 A학점을 줬다. 이런 판에 학점포기제 시행 대학이 늘어나면 그 파장을 대학사회는 어떻게 책임질지 딱하기만 하다.

취업대란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니 대학 측 고충을 이해 못 하는 바는 아니다. “시험을 안 쳐도 C를 주기가 쉽지 않다”는 교수들의 하소연에도 뭐라고 하기가 어렵다. 사회로 내보내는 졸업생들이 적어도 성적표로 다른 대학 출신보다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하고픈 심정일 것이다. 그래도 대학 스스로 위상을 높이려면 보다 엄격한 학사관리로 ‘외부 신인도’를 제고하는 게 정공법이다. 한국 대학은 해외에서도 지켜보고, 다양한 국제평가도 받는 게 현실 아닌가.

흔히 ‘위기의 대학’이라고 한다. 13년째 동결된 등록금부터 보조금으로 초등학생 다루듯 하는 정부 정책까지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인건비는 치솟고 외부장학금도 여의치 않은데 코로나 충격까지 덮쳤으니 운신의 폭도 여의치 않을 것이다. 하지만 외부 탓만 할 수는 없다. 난관을 극복하려는 노력은 어떤지, 자초한 부실·불신은 없는지 대학들에 묻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