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논란과 각종 잡음 끝에 ‘서해수호의 날’ 행사가 어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서해수호의 역사는 모두의 긍지고 자부심이며, 서해수호 정신 속에서 하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3년 진수하는 신형 호위함을 ‘천안함’으로 명명해 의미를 더했다.

군 통수권자로서 지극히 당연한 발언이고 행보다. 하지만 그간 ‘서해수호의 날’을 두고 불필요한 사회적 마찰이 끊이지 않았던 탓에 정부의 진정성과 신뢰에 적잖이 흠이 난 것도 사실이다. ‘서해수호의 날’은 2016년 기념일로 지정됐지만 문 대통령은 지난해에야 처음 참석했다. 북한 눈치를 보다가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행보에 나섰다는 논란도 일었다. 올해도 4·7 재·보궐 선거를 앞둔 시점에 ‘코로나 방역’을 빌미로 국가보훈처가 야당 의원들의 행사 참석을 막아 쓸데없이 분란을 키웠다.

보훈처가 행사 전날에야 뒤늦게 국회 정무·국방위원회 소속 의원 39명을 행사에 불렀지만, 그마저도 ‘카톡’이나 문자메시지로 초청장을 보내는 등 막판까지 미온적 태도였던 것도 유감이다. 앞서 현 정부 주요 인사들이 북한에 의한 천안함 폭침을 ‘우발적 사건’(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불미스러운 충돌’(정경두 전 국방부 장관) 등으로 지칭하고, 여권 인사들이 수시로 ‘좌초설’ 등 음모론으로 유족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았던 전력도 국민이 정부의 ‘진의’를 선뜻 믿지 못하는 이유다.

2002년 제2연평해전,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 서해에서 치른 북한과의 교전에서 전사한 55명의 장병을 추모하는 행사에 이처럼 뒷말이 무성한 것은 결코 정상이라고 볼 수 없다. 나라를 지키다 목숨을 바친 영웅들을 기리는 일이 어떻게 논란거리가 될 수 있나. 정부는 차제에 일련의 사태가 북한의 도발임을 명백히 해 불필요한 논란을 막아야 한다. 아울러 2018년부터 주요 중·고교 역사교과서에서 연평해전과 천안함 폭침 등이 빠진 점도 하루빨리 시정돼야 할 것이다. 나라를 위한 희생이 푸대접받아서야 어찌 국가에 대해 자부심이 생기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