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기후변화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눈부신 가을날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햇살은 따사롭고, 하늘은 더 높고, 시계는 무한 확장된 듯하다. 그러나 청량한 공기 속에서도 사람들은 마스크를 벗어 던지지 못한다. 대학 강의실은 여전히 텅 비어 있고, 온라인 비대면 강의는 가을학기에도 계속된다. 국경을 건너 본 기억이 오래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여전하다. 코로나 팬데믹의 공포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코로나 팬데믹의 미래는 백신 개발과 접종으로 종료되든지, 같이 살아가는 것에 익숙해지든지 둘 중 하나로 귀결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전자의 완결을 희망하지만 현실은 후자일 것이라는 불안한 예감을 버릴 수 없다. 세상은 눈앞에 닥친 코로나 공포에 휩싸여 있지만, 코로나 이후의 세상이 멈춰진 것은 아니다.

이번 여름이 시작되기 전, 기록적인 폭염일 것이라는 예보는 막상 겪어 보니 기록적인 폭우였다. 무려 50일간의 폭우, 4번의 태풍이 몰려왔다. 이쯤 되면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화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현실로 밀어닥치는 것은 시간의 문제인 듯하다. 이번 여름 미국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주를 동시다발적으로 강타한 초대형 산불은 유례없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가져왔다. 그 여파가 미국 대륙과 대서양 너머 8000㎞나 떨어진 영국 하늘을 주황색으로 물들였을 정도다. 9월에는 섭씨 38도로 전례없는 폭염에 시달리던 미국 콜로라도 덴버의 기온이 갑자기 영하 2도로 뚝 떨어지면서 15㎝ 폭설로 뒤덮이는 일도 있었다. 코로나 와중에도 기후 재앙의 시계는 재깍재깍 돌아가고 있다.

2018년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 총회는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채택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이 1.5도만 넘어서도 기후변화가 걷잡을 수 없이 가속화돼 더 이상 되돌릴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1.5도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2010년 대비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적어도 45%, 2050년까지 배출량과 흡수량이 상쇄되는 탄소중립의 순배출을 제로를 만들어야 한다.

기후 재앙의 위기는 이미 세계 경제의 주요 행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세계 유수 금융투자그룹인 JP모간은 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관련 회사에는 더 이상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캘리포니아주는 2035년부터 새로 판매되는 모든 승용차와 트럭에 무공해 배출을 의무화하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미국 주정부가 내연기관차 퇴출 시한을 못 박고 판매 금지를 강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이 된 중국을 끌어들여 합의했던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선 후 ‘탈퇴’를 선언한 미국 정부와 대비되는 행보다.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 가능 발전 논의를 선도해 온 유럽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유럽 기후법안을 마련하고 탄소 규제로 일어나는 자국의 기업 경쟁력 하락 및 비(非)EU국으로의 탄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탄소국경세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면, 미국도 탄소세에 가담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 강령은 석탄 수출, 고탄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국가들의 금융보조금을 겨냥한 탄소세 도입을 천명하고 있다. 바이든이 당선되면 미국은 EU와 협력해 탄소세를 밀어붙일 것이다. 바이든은 당선 첫날 트럼프가 거부한 파리기후협정에 재가입하고, 초기 100일간 주요국 기후정상회의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획기적으로 높이겠다고 한다. 세계 7위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한국도 그 대상이다.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해 화석연료산업의 유통기한이 조금 연장된다고 해도, 시간은 화석연료 편이 아니다.

대단한 결기와 행동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기후 변화’로 인한 ‘기후 재앙’은 예정된 미래다. 기후 변화와 싸우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나. 이대로 기후온난화가 이어진다면 한국의 주요 산업 도시인 부산, 인천, 포항, 울산, 여수 등 해안 인접 지역은 해수면 상승의 영향권 아래 들어가게 된다. 자연은 더 이상 기다려 주지 않는다. 환경은 미래 세대에게서 잠시 빌려 쓰는 것이라고 했던가. 우리는 미래 세대를 위해 어떤 환경을 물려 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