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홍콩 인권법’에 서명한 뒤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반드시 반격하겠다”고 했고, 관영 매체들은 일제히 대미 결사 항전을 촉구하고 나섰다. 29일 코스피지수 2100선이 힘없이 무너지는 등 글로벌 경제로도 파장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홍콩 인권법은 ‘아시아 금융허브’로서 홍콩의 위상을 뒤흔들 수 있는 파괴력을 지닌 법안이다. 홍콩을 중국 본토와 달리 경제·통상에서 특별대우 중인 미국이 이 특별대우 유지 여부를 매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나라가 ‘1단계 무역합의’에 근접한 상황에서 전격 서명된 점도 주목해야 한다. 중국이 ‘정상 국가’로 돌아와야 한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다.

중국은 “노골적인 패권행위”라고 반발하기에 앞서 내정간섭을 자초하지 않았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중국몽’을 앞세워 ‘인권’ ‘공존’ 등 인류보편의 가치를 외면한다는 우려가 세계 각국에서 높아지는 게 현실이다. 최근 불거진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정치범 수용소의 소수민족 탄압이 대표적이다. 중국 정부는 부인하지만 수용소 내 소수민족 등의 인권유린을 고발하는 동영상 만화 등이 소셜미디어를 타고 빠르게 퍼지고 있다.

중국의 안하무인식 행태는 이웃국가 한국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는 “중국을 겨냥하는 전략적 무기가 배치된다면 어떤 후과를 가져올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협박성 발언을 내놓았다. 이런 무례는 수없이 목격된다. 왕이 외교부 장관은 사드배치가 공식화되자 “유방을 겨누는 항우의 칼춤”이라고 했고, 시진핑 국가주석도 문재인 대통령 특사를 하석에 앉히는 결례를 반복했다. 사드 보복에서 보듯 타국에 불공정무역을 강요하는 구태도 여전하다. ‘G2국’임을 자임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지만 자국 이기주의로는 반감만 커질 뿐이라는 냉정한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