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수출 전사' 한빛회 회원들의 苦言
1953년생인 이정빈 원일티엔아이 대표가 ‘이달의 무역인상’을 받은 건 2013년이다. 국내 기업 불모지였던 고압연소식기화기(SCV), 터빈용 연료주입시스템(FGSS) 분야에 뛰어들어 국산화에 성공했다. 6년이 지난 요즘, 이 회사는 고체수소연료로 또 한 번의 ‘수출 대박’을 준비 중이다. 토종 잠수함인 장보고함에 장착할 정도로 기술력을 입증했다. 유일한 경쟁 상대는 독일 기업뿐이다. 오랜 연구와 과감한 투자로 얻어낸 성과다.

며칠 전 ‘이달의 무역인상’ 수상자들의 모임인 한빛회와 함께 베트남 중부를 방문했다. 버스 안에서 ‘수출 엘리트’들이 들려준 인생 스토리는 기업과 기업가 정신이 무엇인지를 새삼 깨닫게 했다.

몸소 진화를 실천 중인 노장(老將)들의 얘기엔 숙연함마저 느껴졌다. 1954년생인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회장은 마이크를 잡자마자 4차 산업혁명이 그릴 미래를 거침없이 설명했다. 그는 “인공지능(AI)을 통해 기계 효율을 높이고 연구개발(R&D) 기한을 대폭 단축하는 등 전 공정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라며 “한빛회 회원들도 새로운 도전에 나서라”고 역설했다. 오 회장은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투자 사업에 실패한 뒤 1993년 5000만원으로 지금의 메타바이오메드를 일궜다.

“놀면 불안해져 미치겠다”는 서기만 베셀 대표는 6년간 번 돈을 상업용 경비행기라는 신천지에 쏟아붓고 있다. 정보기술(IT) 기기용 광학필름을 생산하는 지맥스의 정성우 대표는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었다. ‘살길은 수출’이라는 각오로 1년의 절반을 해외에서 보낸다.

‘수출 전사’들이 들려준 간난고초는 한두 권의 책으로는 부족할 듯싶었다. 임승준 메디싱크 대표는 30대에 회사를 유럽 증시에 상장시키며 수백억원을 벌었다가 시쳇말로 쫄딱 망한 뒤 첨단 의료기기 제조로 재기에 성공했다. 국내에 새싹채소 바람을 일으킨 류경오 아시아종묘 대표 역시 실패를 딛고 일어섰다. 일정 말미, 한빛회 회원 중 가장 젊은 박순일 와이제이링크 대표(44)가 조심스럽게 입을 뗐다. “대선배님들의 경험담을 들으니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게 됩니다.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더 도전하겠습니다.”

기업 생태계를 지배하는 제1의 원리는 ‘약육강식’이다. 상생이나 사회공헌도 경쟁에서 살아남았을 때 가능하다. 생존하기 위해선 끊임없는 변신과 진화를 거듭해야 한다. 안주하는 순간 누군가의 먹잇감으로 전락한다. 이런 원리가 기업에만 적용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기업인의 사기를 꺾고, 기업가 정신을 멸시하는 국가가 언제까지 순항할 수 있을까. 모골이 송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