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이름은 많다. 소금기 없는 물 담수(淡水), 짜디짠 바닷물 해수(海水), 땅 밑의 물 지하수(地下水), 샘으로 솟는 물 천수(泉水)다. 그런 물이 모여 흐르면 하천(河川), 큰 곳에 고이면 호수(湖水)다.

대표적인 물 흐름은 강(江)과 하(河)다. 한반도의 큰 하천은 대개 ‘강’으로 부르지만 중국에서는 ‘河(하)’도 많이 쓴다. 원래는 구별이 가능했다. 중국 북부를 흐르는 하천을 보통 ‘河(하)’라고 적었고, 남부에서는 일반적으로 ‘江(강)’이라 적었다.

둘 모두 큰물을 가리킨다. 샘에서 솟은 작은 물줄기가 계곡을 지나면서 조그만 물 흐름인 계수(溪水)를 이루고, 이는 다시 그보다 큰 물줄기인 하천(河川)을 형성한다. 그 하천의 물이 여럿 모여들어 江(강)이나 河(하)를 만들다가 결국 거대한 물의 모임인 바다를 이룬다.

그래서 강이나 바다처럼 큰물을 하해(河海)라고 적는다. 이 단어는 그저 강이나 바다를 이르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거대함’ ‘매우 큼’의 새김을 획득한다. 그 거대함을 이루는 본질은 무엇일까.

진시황(秦始皇)을 도와 중국 전역을 제패한 인물 이사(李斯·BC284~208)가 그 답을 제시했다. 진시황이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을 모두 쫓아내라는 내용의 ‘축객령(逐客令)’을 내리자 이사는 그를 제지하는 ‘간축객서(諫逐客書)’를 올린다. 그 안에 이런 말이 등장한다. “태산은 다른 곳의 흙을 물리치지 않아 그 거대함을 이루고, 강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를 마다하지 않아 그 깊음을 이룬다(泰山不讓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

커다란 물을 이루는 요체는 ‘불택세류(不擇細流)’, 즉 조그만 물줄기라도 마다하지 않음에 있다는 메시지다. 이를테면 ‘포용(包容)’과 ‘관용(寬容)’이다. 나와 다른 사람, 즉 이기(異己)를 배척하는 위험성을 경고하는 내용이다.

그악한 다툼만이 번지는 우리 정치판 구성원이 모두 새겨볼 만한 메시지다. 제 코드와 맞지 않는 모든 이에게 오로지 적의(敵意)만을 품는, 용렬(庸劣)해서 이제 무능해 보이기까지 하는 정치인들에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