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 지원방식도 달라져야
우리 경제는 저성장과 인구절벽이라는 위기에 노출돼 있으며 정치 또한 미증유의 난국을 보이고 있다. 이런 난국을 타개하려면 창의적인 중소기업 성장 환경 조성, 여성 경제인구의 투입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공지능, 로봇, 합성생명 등 메타 기술을 기반으로 특이점(singularity)을 지나 폭발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요즘 글로벌 환경 또한 기존의 경제 대책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로봇, 센서 퓨전 등을 통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등 다양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생산 시스템 역시 변화하고 있다.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 당시 상상했던 기술은 몇 년이 지나야 나타났지만 이제 상상하는 모든 기술은 이미 현재화돼 있다.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3~5년 정도의 개발 기간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그 정도의 기간이 걸려 개발된 제품은 시장 수요가 존재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다. 제품 기획에서부터 1년 이내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효율적이고 창의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중소기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하는 이유다. 급격한 기술 변화에 대응하고 개별화된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속한 의사 결정 시스템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기업 생존의 필수요건이다. 여기에 전문성을 갖춘 중소기업의 가능성이 있다.

특히 여성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성기업은 중소기업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 면에서는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기업은 시장의 수요 변화에 예민하고 고객과의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 여성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개별화된 제품의 공급 기반을 조성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인구절벽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여성 전문인력의 창업지원과 경제활동 인구의 편입은 한국 경제에서 절실한 과제다.

그러나 이런 중소기업, 나아가 여성기업을 위해 제대로 된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마련할 권한이 어느 정부부처에도 없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현재 중소기업과 관련한 업무는 중소기업청,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기관에서 분야별로 담당하고 있다. 청(廳)은 부(部)와 다르게 입법발의권, 예산권, 부처 간 행정조정권 등이 없다. 이제는 중소기업이 창의력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대기업에 의한 공정한 시장경쟁 저해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중소기업 지원 방식 역시 과거와 달라져야 한다. 소통과 신속한 의사결정, 개별 기업의 전문성 강화 등이 강조되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중소기업이 효율적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능력, 디자인 능력, 제조 능력 등 각각의 특화된 중소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 이런 방향으로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입법발의권을 갖는 정부부처가 있어야 한다.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중소기업인들이 마음 편히 경영할 수 있는 토양의 마련이 시급한 과제다.

한무경 <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