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본시장 발전에 디딤돌 될 공기업 상장
2015년 11월 ‘IPO(기업공개) 빅딜’로 꼽히던 일본우정그룹이 10여년의 논란 끝에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공모 규모는 2014년 뉴욕증시에 상장한 알리바바 이후 최대 수준인 15조원(약 1조4400억엔)이었고, 시가총액도 공모가 기준 140조원에 달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일본우정 보유지분의 11%를 매각하고 자회사인 유초은행과 간포생명을 동시에 상장했다. 주식시장의 관심도 뜨거워 청약경쟁률은 10배 이상으로 높았고, 상장 당일 주가도 공모가격을 뛰어넘어 크게 상승했다.

일본우정의 상장은 우정사업자의 경영난 타개 방법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세계적 관심사가 됐다. 공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상장이란 자본시장 플랫폼을 활용한 것이다. 우정사업자의 상장 사례는 여러 선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영국우정이 2013년에, 이탈리아우정이 2015년에 상장되는 등 10개국 우정사업자가 상장돼 있다.

공기업의 상장은 198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혼합소유제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정부가 경영권 확보를 통해 공공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일반투자자가 일부 지분을 보유하면서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일본우정, 프랑스전력, 파리공항 등이 정부의 지분보유를 법제화해 혼합소유제 방식으로 상장한 대표적인 사례다.

우리나라도 1988년 포항제철 상장을 시작으로 2010년 지역난방공사에 이르기까지 총 12개의 공기업이 상장됐다. 이에 더해 정부는 최근 에너지 공공부문의 기능 조정 일환으로 공기업의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6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자회사인 8개 에너지 공기업을 순차적으로 상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올 1월에는 한국남동발전과 한국동서발전이 상장주관사 선정을 마치면서 상장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상장 방식은 세계적 흐름인 ‘혼합소유제’를 선택했다.

우리 공기업의 상장은 자본시장과 투자자 측면에서는 분명 희소식이다. 코스피지수는 1850~2100에 정체돼 ‘박스피’라는 오명에서 6년여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투자자들은 새 투자처를 찾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런 답답한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우량 공기업의 상장은 코스피지수 3000을 향한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태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