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만경대(萬景臺)냐 망경대(望景臺)냐
“만 가지 경관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만경대(萬景臺)가 맞다.” “좋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자리라는 뜻의 망경대(望景臺)가 옳다.” 46년 만에 개방된 남설악 비경의 바위 이름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현지 주민들조차 헷갈린다고 한다.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망경대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1970년 공원 지정 당시 서류에 망경대로 표시돼 있는데 언제부터인가 만경대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공원사무소 측은 2일 “주변 경치를 관망할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망경대로 불리다가 바로 앞 만물상(萬物相)을 관망할 수 있다는 뜻의 만경대로 바뀐 게 아닌가 한다”며 “일단은 망경대로 일원화할 방침”이라고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갸우뚱한다. 기존의 금강산과 오대산, 내설악과 외설악의 만경대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말도 좋은 경치를 바라본다는 뜻의 망경(望景)보다 온갖 비경을 감상한다는 의미의 만경(萬景)이어서 더욱 그렇다. “갖가지 형상의 기암괴석들이 병풍처럼 펼쳐진 만물상을 이곳에서 구경할 수 있기 때문에 만경대가 맞는 것 같아요.”

결국 ‘무엇을 보느냐’와 ‘어디서 보느냐’의 차이다. 그런 점에서 그 대상인 만물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만물상은 원래 금강산 외금강 지역의 온정마을 서쪽에 있는 바위산을 가리킨다. ‘한자리에 모인 온 세상’이라는 뜻의, 줄지어 선 석회암 봉우리다. ‘1만2000봉’의 기기묘묘한 이 절경을 즐길 수 있는 전망대 이름이 곧 만경대다.

조선시대 성현의 ‘동행기(東行記)’나 남효온의 ‘금강산기(金剛山記)’ 등에도 만경대와 만경동 기록이 나온다. 양사언의 한시 ‘만경대(萬景臺)’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설악산엔 이미 두 개의 만경대가 있다. 인제군 북면 용대리 내설악 지구의 오세암 바로 앞 해발 922.2m인 봉우리. 용의 이빨 같은 암봉들이 둘러선 용아장성과 공룡이 용솟음치는 듯한 공룡능선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속초시 설악동 외설악 지구의 화채능선에서 내려오는 길에도 만경대가 있다.

이번에 개방된 양양군 오색리 남설악만 유독 망경대라고 부르는 건 어색해 보인다. 더욱이 만물상이 코앞에 보이는 자리가 아닌가. 규모는 금강산 만물상보다 작지만, 설악산의 대표 절경이 곧 만물상이다. 이름은 한번 붙이면 바꾸기 쉽지 않다. 학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남설악 단풍 절정기인 2~3주 뒤에는 진짜 산마니아들도 몰릴 텐데….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