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새만금에 스마트팜 단지를 세우려는 것에 대해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이 회사는 이 프로젝트를 철회하기로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아직은 그럴 계획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그 정도로 사업 추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LG CNS마저 사업을 포기하는 일이 벌어진다면 농민들의 저항에 부딪혀 유리온실 사업을 접어야 했던 옛 동부팜한농에 이어 또 하나의 실패사례가 된다. 사태가 이렇게 심상치 않게 돌아가는데도 농업을 스마트팜 등 6차산업으로 키워야 한다고 외치던 농림축산식품부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하고 있다.

LG그룹은 새만금 단지가 조성되면 LG CNS는 한국형 스마트팜 설비와 솔루션 개발에 나서고, 작물 재배는 해외전문사가 맡아 전량 수출할 계획이어서 국내 농민과 직접 경쟁하는 게 아니라고 밝혀왔다. 국내 농민의 스마트팜 참여를 보장한다는 약속까지 내놨다. 하지만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등은 LG 측의 설명에는 귀를 막은 채 “농업 진출을 바로 중단하지 않으면 투쟁에 나서겠다”며 위협을 가해왔다. 그 어떤 기업형 투자도 얼씬도 하지 말라는 식이다. 2022년까지 3800억원의 투자를 계획했던 해외 투자사나 LG 측이 적지 않은 당혹감을 느꼈을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외부 투자가 들어오지 않는 한 한국 농업의 선진화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농민의 고령화, 저효율·고비용 농업구조를 해결할 대안으로 꼽히는 스마트팜만 해도 그렇다. 정부가 지원한 돈은 다 어디로 갔는지 국내 시설원예 전체면적 가운데 스마트팜으로 교체된 것은 2% 수준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이 과학영농을 위해 스스로 투자하겠다는 것까지 막으면 뭘 어쩌자는 건가.

농민단체도 그렇지만 농식품부의 자세는 더 개탄스럽다. 농식품부는 LG 측에 “농민들을 만나 상생방안을 마련한 뒤 사업을 진행하라”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한다. 정부는 뒤로 빠진 채 사업자에게 갈등 해결의 짐을 다 떠넘긴 것이다. 대통령 앞에서는 물론이고 틈만 나면 농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바탕으로 ‘창조농업’을 해야 한다던 이동필 장관은 왜 아무 말이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