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미국 중앙은행(Fed)이 결단을 내렸다. 일각에선 섣부른 결정이라고 비판하지만, 언젠가는 손을 댈 수밖에 없던 것이었다. 제로금리(연 0~0.25%)를 7년째 지속해온 상황이었다. Fed가 기준금리를 마지막으로 올린 때가 2006년 6월로, 10년이 다 돼간다. 경제를 정상화하려면, 비정상적인 금리를 정상화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

물론 세계에 미칠 파장은 상당할 것이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금리정책이 미국과 정반대로 가고 있으니 더욱 그렇다. 일본, 유럽은 양적 완화를 지속하는 중이고 캐나다, 호주는 기준금리를 오히려 더 낮출 태세다. 외신들이 ‘동조화의 대분열(great divergence)’이라고 평가할 정도다. 특히 심상치 않은 것은 신흥국이다. 미 달러화 강세에 자원부국인 브라질 러시아 등의 통화가치는 급락(환율 급등)하고 있다. 중국 역시 강(强)달러에 따른 위안화 절상 압박을 피하기 위해 위안화 추가 절하에 나서고 있다. 저유가로 인한 역(逆)오일쇼크까지 겹쳐 위기론이 확산일로다.

분명한 것은 미국 홀로 독주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미 달러와 제조업은 확실히 더 강해졌다. 금리정책의 결과는 아니다. 인쇄기를 더 빠른 속도로 돌리는 것으로 경제가 산다면 누구라도 고성능 인쇄기를 갖추면 된다. 미국의 부활은 ‘혁신’에 있다. 셰일가스 혁명에서부터 트위터 페이스북을 거쳐 IoT 시대의 주역인 센서, 무인차까지 모두가 미제다. 창조와 혁신은 여전히 미국의 자유시장 시스템 속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우리는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팍스아메리카’의 부활이라는 말이 나오는 데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글로벌 경제가 미국을 축으로 새 판을 짜는 중이다. 국가들의 위계질서가 대개편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동 러시아 등 산유국은 50%, 기타 국가는 국부의 30%가 줄어들 것이란 예상까지 나온다. 이미 그 과정이 진행 중이다. 금리 논란에 빠져 숨겨진 키워드를 놓쳐선 안 된다. 대한민국은 혁신은커녕 ‘정치 진흙탕’에서 허우적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