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한·중 정상회담과 관련해 어이없는 일이 벌어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모두발언에서 “양국 관계가 역대 최상의 우호관계로 발전했다”고 말했다는 내용은 오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지에서 정부 관계자는 녹음된 발언을 대사관이 번역하면서 오역이 발생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우리 정부는 발표자료에 “양국 정상 간에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이는 중국 측 발표문에는 빠져 있다. 한·일·중 정상회담을 10월 말이나 11월 초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데 합의했다는 내용 역시 우리 측 발표문에만 들어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양측이 각자의 발표문을 상대방 확인을 거쳐 냈다면서, 내용이 다른 것은 서로가 중시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물론 두 정상 간에 통일문제 같은 민감한 사안을 놓고 내밀하게 주고 받은 대화를 시시콜콜하게 모두 발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중국의 내부 사정도 감안해야 한다. 또 중국이 이번 회담을 통해 북에 추가 도발하지 말 것을 경고한 의미도 상당하다. 그렇지만 여전히 과제가 적지 않다. 중국은 통일문제를 우리만큼 중시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고 양국 간에 상당한 입장차이가 있다는 것도 확인됐다. 우리로선 북의 돌발사태와 그 이후 통일과정에서 중국의 협력이 필요한 것인데, 정작 중국은 이에 관심이 없다면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밖에 없다. 한·일·중 정상회담이 순탄하게 준비될지도 의문이다.

중국이 이번에 박근혜 대통령을 예우한 것은 주목할 일이다. 그러나 양국 간에 상당한 인식 차이가 엄연히 존재한다. 사실 한·중 관계에서 중국은 별로 바뀐 게 없는데 우리 외교라인에선 양국관계가 특별히 깊어지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최근 남북합의에 대해서도 정부는 북의 유감 표명은 사과였다는 것을 강조하지만, 북은 어제도 사과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남북 간, 한·중 간 외교적 언어들에서 사실관계조차 확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큰 문제다. 입맛대로 해석하고, 좋은 것만 발표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