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온 나라에 '유한킴벌리 바람'이 불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지도층은 틈만 나면 유한킴벌리의 일자리나누기 성공사례를 침이 마르게 칭찬한다. 이 회사를 벤치마킹하겠다며 현장을 다녀간 기업관계자만도 2백명이 넘을 정도라 한다. 얼마전 유한킴벌리와 같은 모델을 개발,'전도'해 줄 정부의 뉴패러다임센터가 문을 여는 등 이제 나라 전체가 '일자리만들기 게임'속에 빠져든 듯한 분위기이다. 유한킴벌리는 근무형태를 공장에 따라 4조2교대 또는 4조3교대제를 채택,일자리나누기의 대표적 모범사례로 꼽히는 사업장이다. 근무조를 늘리다보니 근로자들의 여유시간이 늘어나고 이를 이용해 직무향상교육을 시켰더니 생산성이 늘어나더라는 것이다. 이 회사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업장들이 채택하는 3조3교대나 2조2교대 등에 비해 생산성을 높이면서 일자리도 30% 이상 늘린 이른바 '꿈의 사업장'인 셈이다. 유한킴벌리식 모델은 일자리창출을 올해 최대화두로 내세우고 있는 현정부에는 실업문제를 해결해줄 '복음(福音)'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가 만병통치약처럼 여기는 유한킴벌리식 모델이 과연 다른 기업까지 적용할 정도로 보편성이 있는가에 대해선 머리가 갸우뚱해진다.무엇보다 유한킴벌리식 모델은 기업경영에 부담으로 직결되는 인원증원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직원을 늘린 뒤 시장상황이 어려워진다면 잉여인력이 골칫거리로 남을 수밖에 없다.또 근무형태 변경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해도 시장지배력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교육과 근무형태,종업원 만족도에 있어 세계최고수준을 자랑하는 IBM,AT&T 등 세계적 기업들도 결국 시장상황에 따라 인원을 감축하고 있다. 노동부가 최근 유한킴벌리에 일자리나누기 등을 너무 과대포장하지 말라고 경고한 것도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자리나누기에 나서는 기업에 대해 인건비의 절반가량을 지원하는 유인책을 쓰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하지만 정부가 너무 단기성과에만 집착한 나머지 일자리나누기 '바람잡기'에 나설 경우 이로인한 부작용이 훨씬 클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