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4세 실업률이 10.6%라는 통계청 발표는 청년 실업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전체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인데도 청년층 실업률은 계속 높아지고 있는 까닭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대기업들조차 거의 하나같이 신규채용 인력을 늘리지 않고 있는 여건이고 보면 청년층 실업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경기전망이 불투명한데도 원인이 있지만 IMF 이후 인력증원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일반화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가까운 시일안에 신규채용이 늘어나기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게 사실이다. 바로 이런 점을 감안하면 청년층 실업문제는 보통 일이 아니다. 청년 실업은 사회안정을 위해서도 하루빨리 풀어야 할 과제다. 그러나 그것이 경제전반의 상황변화에 따른 구조적 결과임을 감안하면 즉각적인 해결책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정부에서도 공무원 신규채용 확대,인턴사원제,직업훈련 확대 등 그 나름대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그것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청년층 실업률 통계만 봐도 알 수 있다. 1년 전에 비해 일자리도 늘고 그래서 전체 실업률이 낮아졌는데, 청년층 실업률은 오히려 높아졌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그것은 대학의 직업교육에 뭔가 문제가 있음을 반증한다. 취업률이 높은 상위권 전문대의 입학 경쟁률이 92.7 대 1에 달한다는 점,4년제 대학 졸업자가 다시 전문대에 지원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는 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이른바 종합대학들의 기술 및 기능교육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그것이 청년 실업자를 양산하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부인해서는 안된다. 4년제 대학졸업자 신입사원 보다 경력사원 수시모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도 대학 직업교육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빚어지는 현상이라고 봐야 한다. 상당기간 회사에서 별도의 훈련과정을 통해 가르치지 않으면 쓸모가 없다는 대졸 신입사원에 대한 보편적인 평가를 대학관계자들은 ''잘못된 편견''이라고 과연 반박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취업재수생 증가만 해도 그렇다. 대기업이 아니면 취업시험 재수를 택하겠다는 전시대적 직업관은 문제다. 그 원인을 따지면 논란이 끝없이 이어질 성질의 것이고 그 선택은 결국 당사자에게 달린 문제이기도 하지만,이또한 대학직업교육과 무관한 문제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