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카카오페이나 토스 등 대출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사들이 업권별로 수수료 차등을 두는 것을 놓고, 금융당국이 직접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은행보다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는 제2금융권이 잇따라 대출 중개서비스에서 발을 빼자, 서민들의 급전창구가 사라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기 때문입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금융당국이 이르면 이달 중 핀테크업계 실무자들과 만나 대출중개 플랫폼 수수료 현황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최근 저축은행과 캐피탈사 등 제2금융권이 "시중은행보다 4배나 비싼 중개 수수료를 내고 있다"며 플랫폼에서 발을 빼기 시작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실제 웰컴과 페퍼저축은행을 비롯해 현대와 롯데캐피탈 등 캐피탈사, 교보생명 등 일부 보험사들까지도 중개 플랫폼을 통한 신규 대출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데다 제2금융권의 대출문턱까지 높아지자, 시장에선 서민들의 급전창구가 줄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 : 사실 각사별로는 (대출을) 하고는 있거든요. 플랫폼 통해서 하는 것만 중단한 건데…우리가 굳이 플랫폼에 수수료를 줘가면서 이 어려운 유동성 시기에…]

현재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사들은 시중은행보다 많게는 4배 가량 높은 중개 수수료율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업계는 "같은 중개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데도 금리가 높다는 이유로 더 비싼 수수료를 내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플랫폼사는 "오프라인 대출모집인보다 약 60%나 절감된 수수료인데다, 2금융권에서의 대출고객 모집 효과가 더 뛰어나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대환대출서비스와 빅테크를 중심으로 한 보험중개서비스 역시 수수료 문제가 맞물려 있는 상황.

당국은 "개별사간 수수료 계약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지만, 금융사들의 플랫폼 이탈 움직임이 소비자 불편으로 이어지는 만큼 각 업계의 의견 조율을 통한 개선책 마련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플랫폼 수수료와 관련된 개선책이 단순히 업권별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금융소비자들의 부담 완화로 반드시 이어져야 한다고 당국은 강조합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
금융당국, 대출중개 플랫폼 수수료 논란 진화 나선다